728x90 728x90 一大幹九正脈 마루금의 흔적 ~ 1 대 간 9 정 맥 총 정 리 전체 진행거리 : 도상 2,985.4Km 전체 진행시간 : 1035시간 56분 평균 진행속도 : 2.9Kkm / Hr 한북정맥(漢北正脈) 1구간(2004.04.04) 19.6Km (9시간45분)수피령~복주산~하오현~회목현~광덕산~광덕고개 2구간(2004,09.12) 8.8Km (4시간30분)광덕고개~백운산~도마치봉~신로령 3구간(2004.10.17) 16.2Km (8시간15분)신로령~국망봉~견치봉~민드기봉~도성고개~강씨봉~청계산~길매재 4구간(2004.10.31) 14.3Km (6시간40분)길매재~길매봉~노채고개~원통산~운악산~아리랑고개 5구간(2004.11.21) 26.1Km (8시간33분)아리랑고개~명덕산~수원산~국사봉~큰넓고개~죽엽산~축석령 6구간(2004.11.27.. 2015. 1. 19. 白頭大幹의 사고적 의미 ~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산줄기 인식 체계로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철령, 금강산, 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 산줄기로 총길이는 약 1400km이다. 지질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산맥 체계와는 다르게 물의 흐름과 산줄기를 중시한 우리들의 생활권 형성에 맞추어 인식한 산줄기 체계이다. 백두대간의 유래는 단군신화로부터 시작되는데 우리 민족에게 백두산은 언제나 크고 높으며 성스러운 산으로 여겨졌다. 백두대간이 최초로 나타나는 기록은 신라 말기의 승려 도선이 지은 로서 " 우리나라는 백두산에서 일어나 지리산에서 끝났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지리 인식은 고려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져 고려 말의 이첨이 쓴 에는 "백두산은 머리가 되고, 대령(大嶺)은 등성마루가 되어 지리산에 머문다" 라고 기록되.. 2012. 7. 13. 白頭大幹의 산경표 지명 ~ ≪산경표 지명≫ ★ 북한의 백두대간 백두산(白頭山) 연지봉(檎脂峰) 허항령(虛項嶺) 보다회산(寶多會山) 사이봉(沙伊峰) 완항령(緩項嶺) 어은령(漁隱嶺) 원산(圓山:장백정간의 분기점) 마등령(馬騰嶺) 괘산령(掛山嶺) 황토령(黃土嶺) 천수령(天秀嶺) 조가령(趙哥嶺) 후치령(厚致嶺) 향령(香嶺) 태백산(太白山) 부전령(赴戰嶺) 대백역산(大白亦山)황초령(黃草嶺) 사향산(麝香山) 설한령(雪寒嶺) 낭림산(浪林山:청북정맥,청남정맥의 분기점) 상검산(上劍山) 마유산(馬踰山) 횡천령(橫天嶺)두무산(頭蕪山) 애전산(艾田山) 철옹산(鐵瓮山) 오강산(吳江山) 운령(雲嶺) 무라발산(无羅鉢山) 거차산(巨次山) 토령(土嶺) 장좌령(莊佐嶺) 대아치(大峨峙) 죽전령(竹田嶺) 기린령(麒麟嶺) 재령산(載靈山) 화여산(花餘山) 두류산(頭流.. 2012. 7. 12. 白頭大幹의 마루금 흔적 ~ 1구간(2010.05.30) 23.5Km (10시간30분) 천왕봉(1915m)~제석봉(1809m)~연화봉(1667m)~삼신봉(1700m)~촛대봉(1703m)~칠선봉(1576m)~덕평봉(1521m) 2구간(2010.06.13) 23.6Km (9시간) 성삼재(1090m)~노고단(1507m)~반야봉(1732m)~삼도봉(1499m)~토끼봉(1534m)~명선봉(1586m)~형제봉(1452m)~벽소령대피소 3구간(2010.05.09) 13Km (5시간) 성삼재(1070m)~작은고리봉(1248m)~묘봉치(1108m)~만복대(1438.4m)~정령치휴게소(1172m)~고리봉(1305m)~고기리~덕치리 4구간(2010.02.28) 16.2Km (6시간) 주촌리~수정봉(804.7m)~입망치(545m)~여원재(480m)~고남.. 2012. 7. 12. 백두대간 51구간 설악의 美 ~ 용대리 운해 ~ 속초 앞바다 ~ 화채릉, 울산바위 ~ 상봉 ~ 용대리 ~ 대청봉, 황철봉 ~ 상봉(우) ~ 고성방면 ~ 향로봉과 마산봉 ~ 머리에 구름을 얹고 있는 금강산 ~ 금강산 줌인 ~ 상봉 너덜 ~ 상봉 ~ 울산바위 ~ 금강산이 보이는 곳 ~ 대청봉(맨끝) ~ 울산바위 ~ 신선봉 헬기장 ~ 신선봉 ~ 향로봉, 마산봉 ~ 용대리 운해 ~ 병풍바위봉(좌), 마산봉(우) ~ 향로봉 ~ 맨 끝에 대청이 ~ 2012. 7. 11. 백두대간 51구간(미시령~신선봉~진부령) ......... 2012.7/7~8 산행날씨 : 평지기온으로 17.2℃~25.3℃, 맑음 산행코스 : 미시령(767m) ~ 상봉(1239m) ~ 화암재 ~ 신선봉(1204m) ~ 대간령 ~ 암봉 ~ 병풍바위(1058m) ~ 마산(1051.9m) ~ 알프스스키장 ~ 진부령 산행거리 : 도상거리 14.3Km (대간거리 14.3Km / 접속거리 0) 산행시간 : 느릿하게 8시간40분(조식 및 휴식 1시간30분) 산악회 따라 ~ 드디어 백두대간 마지막 구간을 마무리 했다. 하늘이 도왔던지 모처럼 쾌청한 날씨를 맞아서, 백두대간 진행 중 최고의 선물을 안고 왔다. 동해 일출의 황홀경을 만끽했고, 향로봉 너머의 금강산도 뚜렸하게 보았고, 가던 도중 뒤를 돌아볼 때마다 설악의 명품 조망이 버티고 있었다. 미시령에서 출발 ~ 역시 이곳도 월담을 해야 하.. 2012. 7. 10. 백두대간 50구간, 雪岳의 美 ~ ......... 2012.6/23~24 숨겨 놓은 보석 조 지 은 그대는 누구에게도 알려지지 않은 / 나만의 보물입니다 그토록 많은 시간을 함께 지내고 / 그대의 구석구석을 안 것 같아도 / 그대는 아직 열어 보지 않은 상자들이 가득한 / 나만이 알고 있는 비밀 동굴 / 감추어 놓은 나의 보석 서로 발견한 상자를 열어 보는 / 그 기쁨과 흥분이 있어 / 우리의 관계는 더 풍요로와지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2012. 6. 27. 백두대간 50구간(미시령~황철봉~마등령) ......... 2012.6/23~24 산행날씨 : 평지기온으로 17.3℃~25.1℃, 흐림+ 맑음 + 비 산행코스 : 미시령(767m) ~ 미시령 갈림길(1066m) ~ 삼각점(1318.9m) ~ 황철봉(1380m) ~ 저항령 ~ 1249.5봉 ~ 마등령정상(1326.7m) ~ 마등령 ~ 비선대 ~ 소공원 산행거리 : 도상거리 14.5Km (대간거리 8Km / 접속거리 6.5Km) 산행시간 : 보통으로 8시간10분(조식 및 휴식 2시간) 산악회 따라 ~ 토요무박으로 떠났다. 이번 대간길 역시 비경이 서려있는 설악의 알짜배기 구간이다. 미시령에서 출발, 북주능선을 따라 마등령에서 대간길을 마감하고 비선대를 거쳐 소공원으로 하산했다. 미시령 ~ 1950년경 차량도로가 처음 뚫렸다. 한국전쟁 후 국군공병단에 의해 관리돼 군작전도로로 사용, 198.. 2012. 6. 25. 백두대간 49구간, 雪岳의 美 ~ ......... 2012.6/9~10 끝청 가는 길 ~ 나무가 우째 조래 생겼노. 아치 모양으로 휘어진 자연문을 통과한다. 끝청에 도착하니 사방이 꽉 막혔다. 일출대신 구름바다, 눈에 보이는 것이라곤 푸른 초원 위에 불쑥 솟아 오른 주목 향연뿐 ~ 도도한 자태를 뽐내는 주목 ~ 꿈길같은 중청대피소 ~ 범의 꼬리 ~ 대청 가는 길 ~ 산 에 와 서 김 남 조 우중 설악이 / 이마엔 구름의 띠를 / 가슴 아래론 안개를 둘렀네 할말을 마친 이들이 / 아렴풋 꿈속처럼 / 살결 맞대었구나 / 일찍이 / 이름을 버린 / 무명용사나 / 무명성인들 같은 / 나무들 / 바위들 / 청산에 살아 / 이름도 잊은 이들이 / 빗속에 벗은 몸 그대로 / 편안하여라 / 따뜻하여라 사람이 죽으면 / 산에 와 안기는 까닭을 / 오늘에 알겠네 대청 가는 길 ~ 천년을 기다.. 2012. 6. 12. 백두대간 49구간(한계령~대청봉~마등령) ......... 2012.6/9~10 산행날씨 : 평지기온으로 16.3℃~21.4℃, 흐림+ 맑음 + 비 산행코스 : 한계령(920m)~서북릉 갈림길~끝청(1610m)~중청대피소~대청봉(1707.9m)~중청대피소~소청(1581m)~희운각대피소~공룡능선~마등령~오세암~백담사 산행거리 : 도상거리 23.5Km (대간거리 16.1Km / 접속거리 7.4Km) 산행시간 : 보통으로 9시간20분(휴식 및 중식 1시간10분) 산악회 따라 ~ 토요무박으로 떠났다. 이번 대간길은 설악 최고의 알짜배기 구간이다. 한계령에서 출발, 대청을 오른다음 공룡능선을 거쳐 백담사로 하산했다. 일출을 기대했으나 . . 또 실패 . . . 이번에도 바닥은 역시 구름이 차지했다. 한계령에서 대청까지 바쁘게 걸어서 2시간50분 걸렸다. 도상거리 8.4Km, 주행속도 시속3K.. 2012. 6. 11. 백두대간 48구간(조침령~점봉산~한계령) ......... 2012.5/26~27 산행날씨 : 평지기온으로 11.7℃~22.9℃, 흐림 산행날씨 : 평지기온으로 11.7℃~22.9℃, 흐림 산행코스 : 조침령(770m) ~ 943봉~양수발전소댐 위 ~ 북암령(940m) ~ 단목령 ~ 점봉산(1524.2m) ~ 망대암산(1236m) ~ 1157.6봉 ~ 만물상 릿지 ~ 한계령(920m) 산행거리 : 도상거리 25.5Km (대간거리 21.5Km / 접속거리 2Km / 알바 2Km) 산행시간 : 빠르게 9시간10분(휴식 및 중식 30분 /알바 1시간) 산악회 따라 ~ 토요무박으로 떠났다. 이번 구간은 입산통제지역인 남설악 점봉산 일대를 통과하는 구간이다. 남설악의 진수를 실컷 만끽했다 그러나 운무의 방해로 동해 일출과 설악 대청봉 일대의 조망은 모두 놓쳐버린 날이다. 조침령 신도로에서 출발.. 2012. 5. 29. 백두대간 47구간(구룡령~조침령) ......... 2012.5/12~13 산행날씨 : 평지기온으로 12.5℃~24.2℃, 흐림 산행코스 : 구룡령(1013m) ~ 갈전곡봉(1204m) ~ 왕승골 갈림길 ~ 연가리골 갈림길 ~ 윗황이 갈림길 ~ 쇠나드리 갈림길 ~ 조침령(770m) 산행거리 : 도상거리 22Km (대간거리 21Km / 접속거리 1Km) 산행시간 : 보통으로 9시간00분(휴식 및 중식 60분) 산악회 따라 ~ 토요일 무박으로 일정을 잡고 떠났다. 홍천~ 양양 경계인 구룡령에서 시작, 인제~ 양양 경계인 조침령에서 한 구간을 마무리했다. 여러 개의 산을 넘어가지만 이름이 붙여진 봉우리는 갈전곡봉뿐, 나머지는 모두 무명봉이다. 갈전곡봉이 오늘 구간 중 최고봉이다. 전체적으로 조망은 없었다. 온통 숲에 가려 트인 곳이 없고, 시야마저 흐릿, 바다를 구경하지 못했다. 대.. 2012. 5. 12. 이전 1 2 3 4 ··· 6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