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암벽등반 바위의 암질 바위의 종류 바위의 종류는 만들어진 과정과 바위를 이루고 있는 성분의 차이 그리고 지각변동 같은 환경에 따라 각각 다른 구성물질과 조직, 특성을 보이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바위의 종류는 크게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분류는 바위가 만들어지는 환경과 과정에 따라 나눈 것이다. 바위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등반 장비의 준비부터 등반 기술, 장비 걸기, 훈련에 이르기까지 많은 도움을 준다. 우리 나라 바윗길 대부분은 단단한 화강암으로 바위면이 매끄럽고 입자가 단단한 비탈과 민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암벽화도 바닥면이 부드럽고 잘 휘어지는 마찰 등반용을 많이 쓴다. 그러나 유럽 알프스 지역은 바위띠나 발판, 선반이 많이 있는 수성암이어서 발디딤이나 손잡이가.. 2022. 9. 8.
암벽등반 로프 사려서 짊어지기 하강이나 등반 시 여분의 로프가 생겨 부득이 짊어지고 행동해야 할 때가 있다. 배낭에 공간이 있으면 로프를 사려서 배낭 안에 집어 넣으면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외부에 걸쳐서 울러매야 한다. 아래에 그 적절한 방법을 소개한다. 배낭이 있는 경우 배낭 위에 사린 로프를 걸쳐서 좌우 양 갈래로 늘어뜨려 울러매는 방식이다. 이 때 늘어진 로프를 고정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해주어야 한다. 사린 로프의 양 갈래가 너덜거려서 하강기에 닿거나 가려서 잘 보이지 않게 되면 하강기 조작이 불편해질뿐 아니라 기분도 썩 좋지는 않다. 뿐만아니라 사린 로프의 갈래가 하강줄에 걸려 엉키거나 하강기에 끼어서 곤란한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어 로프를 확실하게 정리해야 한다. 배낭이 없는 경우 로프를 사려서 목에 걸고 움직일 때 .. 2022. 9. 8.
암벽등반 파트너의 안전 확인 클라이밍은 위험성이 항상 존재한다. 장비의 올바른 사용만으로 위험성이 없어지지는 않는다. 클라이머의 습관, 과신, 피로에 의한 부주의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클라이밍 파트너간 상대의 실수를 확인하고 수정해 줌으로서 보다 즐겁고 안전한 클라이밍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장신구 제거 등반 전에 먼저 팔다리나 손가락 등에 붙어있는 장신구를 모두 제거하고 등반에 임하도록 한다.(시계, 반지, 팔찌, 목걸이 등) 장신구가 등반을 방해하거나 추락시 신체에 상해를 입힐 수 있다. 하네스 ★ 하네스의 안전 확인 절차가 첫 번째 단계다. 허리, 왼쪽 다리, 오른쪽 다리 등 세 곳의 버클이 이중으로 지지됐는지 확인한다. ★ 빌레이 루프, 크로스 피스, 다리 루프 등이 뒤틀리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 허리 벨트, 다리.. 2022. 9. 8.
암벽등반 트레이닝 1. 트레이닝 이론과 기초 트레이닝의 정의 트레이닝(Training)이란 합리적이고 계획적인 체력훈련을 통하여 인체의 운동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으로서 등반에 필요한 정신적, 육체적 훈련을 말한다. Low의 3대법칙 ① 근육은 적당히 사용하면 증진한다 ② 근육은 사용하지 않으면 쇠퇴한다. ③ 근육은 과다하게 사용하면 파괴된다. 트레이닝을 통해 증진시킬 수 있는 요소 ① 체력 ★ 근력 : 정적근력 (근육의 수축력) / 동적근력 (순발력) ★ 지구력 : 근지구력 (피로없이 근수축을 지속시킬 수 있는 능력) / 심폐지구력 (근육에 산소와 혈액을 원활히 공급하는 능력) ② 기술 (조정력) ★ 유연성 : 관절의 가동범위 ★ 평형성 : 기술과 관련된 능력 ★ 민첩성 : 근육의 협응력 (주동근과 길항근) 트레이닝.. 2022. 9. 8.
암벽등반 선등하기 1. 선등의 세계 암벽을 선등한다는 것은 또 다른 하나의 문제이자 즐거움이다. 여러가지 암벽 등반장비의 사용법을 알고 있고, 등반기술을 익히고, 충분한 암벽등반장비가 갖추어졌다고 해서 바로 선등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후등자로 등반하는 것과 선등자로 등반하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오르고자 하는 코스의 전체 피치에 대한 운영을 생각하고, 여러가지 위험이나 발생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대비책도 생각해야 한다. 또한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적절한 판단과 행동을 해야 한다. 그리고 무었보다도 추락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정신자세가 필요한데, 무조건의 용기만으로 추락의 공포가 극복되지는 않는다. 냉정한 판단과 신중한 행동만이 추락의 위험을 제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암벽등반에 대한 충분한 연습이 되었다 하.. 2022. 9. 8.
암벽등반 확보물 설치 1. 자연 확보물의 이용 자연확보물로는 나무, 암각, 촉스톤등이 주로 이용된다. 확보물은 강한 추락의 충격으로 부터 충분히 견딜 만큼 튼튼해야 하는데, 과연 ’얼마나 튼튼해야 하는가?’의 답을 찾기는 매우 곤란한 문제이다. 그것은 등반상황에 따라 등반자의 판단과 느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과학적인 계산이나 측정기구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 나무는 부러지거나 뿌리가 뽑힐 가능성을 점검하고 가급적 밑둥에 슬링을 두른다. ★ 바위의 기둥, 암각, 촉스톤 등을 이용할 때는 부스러지는 바위가 아닌가? 밑부분이 견고하게 안정되어 있는가? 등을 살핀다. ★ 암각에 슬링을 두를 때는 마찰로 인한 절단가능성, 벗겨질 위험성 등을 점검하고, 설치한 슬링의 각도가 60°이하가 되게 한다. ★ 벗겨질 위험성이 있는 .. 2022. 9. 8.
암벽등반 등반기술 (손 & 발쓰기) 1. 암벽등반기술 기본원리 3지점 원리(Three Point) 손과 발 4지점 중 적어도 3지점은 반드시 암벽에 의지하고 있어야 다음 동작을 위한 균형을 유지하기 좋다. 균형 (Balance) ★ 균형 유지 ★ 체중의 적절한 분산 ★ 올바른 중심이동 ★ 자연스러운 몸놀림 마찰 (Friction) 대부분 슬랩등반에서 암벽화의 밑창을 바위의 요철에 문질러 딛어(Smearing) 지지력을 얻는데 응용되며, 또한 암벽등반 중에 사용되는 모든 신체부위와 암벽의 접촉은 기본적으로 마찰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짝힘 (Opposition) 짝힘의 원리는 어떤 물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힘을 가하면 공중에 정지되는 것으로 암벽등반기술 중 레이백(Leiback), 째밍(Jamming) 등 짝힘의 원리를 이용한 기술은 .. 2022. 9. 8.
암벽등반 기본장비(등반용) 1. 로프 (Rope:영, Seil:독) 로프의 발달 ★ 마닐라/자이잘삼 : 신축성이 없고, 약하며 무겁다. ★ 나일론 꼰 로프 : 많이 늘어남, 뻗뻗하고, 열에 취약함. ★ 나일론 직조로프 : 적당한 신축성, 부드러움, 우수한 강도. 로프의 구조 ★ 속심(kern) 과 껍질(mantle)의 이중구조 ★ 외피는 로프 단면굵기의 25 ~ 30%를 차지하며, 자외선이나 불순물로부터 내피를 보호하고 로프를 부드럽게 함. ★ 내피는 전체강도의 70% 이상을 차지. ★ 로프 섬유다발의 절반은 시계방향으로 나머지 절반은 반시계 방향으로 짜여져 있는데, 이러한 것은 등반중 로프가 꼬이는것을 방지하고, 오버행에 매달려있어도 몸이 회전하지 않도록 해준다. 성능 검사 ★ 국제산악연맹(UIAA : Union Internat.. 2022. 9. 8.
암벽등반 기본장비(개인용) 암벽등반에서 개인이 필수로 갖추어야 할 장비는 안전벨트, 자기확보줄, 잠금비나, 하강기, 클라이밍슈즈, 헬멧 등이 있다. 이 장비들 모두 개인의 안전과 직결된 품목들이므로 구입시 용도에 맞게 신중을 기해 선택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 할 것이다. 장비의 구입 전에 해당 장비를 먼저 사용해본 경험자들의 사용담이나 사용후기를 참조하면 보다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다. 그외 부수적으로 쵸크백이나 슬링 등을 별도로 준비해 두면 등반에 보다 도움이 될 것이다. 1. 안전벨트 안전벨트의 종류 ★ 하단벨트 (Seat Harnesses) :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안전벨트 ★ 스와미 벨트 (swami belts) : 다리고리와 허리벨트가 분리된 형태 ★ 상하단벨트(Body Harnesses) : UIAA에서 인정하는 유.. 2022. 9. 8.
암벽등반 스타일 암벽등반은 안전하다. 자신의 가능성과 수준에 맞게 즐길 수 있다. 누구나 암벽등반 자체만으로도 무척 흥미있는 스포츠이다. 산행 중 필연적으로 만나는 산의 다양한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수단이다. 암벽등반 행위의 종류 ★ 보울더링(Bouldering): 추락 시 부상의 위험이 없는 작은 바위에서 암벽등반을 즐기거나 어려운 기술을 연마하는 행위 (1910년 ~ 현재) 크랙 클라이밍(Crack Climbing): 1~2마디(Pitch)의 작은 암벽을 오르는 등반행위(확보방법과 장비의 미발달 시기) ★ 연속등반(Continuous Climbing): 여러 마디를 연속적으로 등반(확보방법, 장비 발달 시기 : 1915년 이후) ★ 빅월 클라이밍(Big Wall Climbing): 대암벽을 오르는 등반 (1930년.. 2022. 9. 8.
암벽등반 난이도 등급 난이도 등급체계 (Grading System ; Rating Systems) 1. 그레이드의 개요 그레이드란 산의 일정부분들 특히 암벽부분의 피치, 루트전체, 확보조건, 자연조건 등을 고려하여 난이도를 상대적인 평가체제로 등급을 정한 것이다. 2. 그레이드의 발달 인간의 경쟁심리 - 성취의욕 - 스포츠성 등반정보로서의 가치 1920년대에 빌로 벨젠바하(Willo Welzenbach)에 의해 시작 3. 종래의 UIAA(국제산악연맹)의 그레이드 (자유등반, 인공등반 공용) 난이도 설 명 I Easy (쉽다) II Moderate (보통이다) III Moderately difficult (약간 어렵다) IV Difficult (어렵다) V Very Difficult (매우 어렵다) VI Extremely Di.. 2022. 9. 8.
암벽등반의 하강기술 하강은 확보자가 따로 없다. 오로지 자기 자신만이 확보자가 되는 것이다. 하강의 실수는 곧 비극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상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방법이 올바른지를 재차 확인하는 습관이 요구된다. 1. 하강 준비 하강과 위험 하강은 로프를 직접 몸에 감거나, 하강기구를 사용하여 로프와의 마찰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밑으로 떨어지는 신체의 무게를 잡아주게 한다. 즉 로프와의 마찰로 떨어지는 속도를 늦춰줌으로써 안전한 속도로 내려오는 것이다. 하강은 매우 쉽고 간단한 기술이지만 많은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경험많은 등반가일수록 오를때보다 하강할때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인다. 왜냐하면 하강은 올라가는 것과 달리 체중이 하강장치에 계속적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며, 그때 만일 확보지점, 매듭, 로프.. 2022. 9. 8.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