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해파랑길 37코스 .... 2022.11.19 날씨 : 9.6~18.0 ℃, 흐림 코스 : 안인항~군선강 수변~강동초교~정감이숲길~동막저수지~자동차극장~굴산사지당간지주~오독떼기전수관 거리 : 16.78km 시간 : 3시간 09분 인원 : 산악회따라 수정된 개념도 예전의 개념도 해파랑길 37코스와 강릉바우길 7코스(풍호연가길)는 같은 트랙이다. 안인항을 출발해서 오독떼기전수관에서 종점을 찍는 15.8km의 내륙 코스다. 바다라고는 오직 안인항뿐, 나머지는 강릉의 내륙을 통과한다. 논길, 들길, 수변길, 등산로, 굴산사지 유적지가 혼합된 코스다. ▼ 최근 해파랑길 37코스 트랙이 변경되었다. 예전 안인항 해변에 설치되었던 여권 스탬프가 괘방산 안보체험등산로 입구로 옮겨졌다. 아래 지도와 같이 수정된 트랙은 안인항을 거치지 않고, 노란색으로 표시한 도로를.. 2022. 11. 21. 강릉 통일공원 .... 2022.11.05 해파랑길 36코스 진행 중에 들렀다. 강릉 통일공원은 2001년 9월 26일에 개장, 남북통일과 안보에 대한 내용을 전시한 공원이다.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이 최초로 남침하여 상륙한 곳이며, 1996년 9월 18일에는 북한 잠수함이 침투하여 온 곳이다. 인민무력부 정찰국 소속의 특수부대원 26명이 강릉 일대로 침투했던 사건이다. 통일전시관 전시관으로 입장 야외에 전시된 탱크와 장갑차 월남전 참전 기념탑 권태순 장군 동상 지리산함 전사자 충혼탑 강릉지구 전적비 강릉학도 6.25 참전 기념비 강릉 무장공비 침투 희생자 위령탑 안인항 줌인 2022. 11. 5. 백제유물전시관(청주) .... 2022.10.10 충북 청주시의 도심 속에 위치한 양병산과 명심산을 산행하면서 들러봤다. 관람료는 없다. 청주백제유물전시관은 명심산 기슭의 신봉동 도로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충북 최초의 백제사 전문 전시관으로서 '청주 신봉동 고분군'을 중심으로 '청주 송절동 유적', '청주 봉명동 유적' 등을 소개하고 있다. 전시를 통해 청주 지역이 마한에서 백제로 이행하는 모습과 당시의 청주 사람들에 대한 문화를 살펴볼 수 있다. 2001년 11월 29일 개관된 백제유물전시관 전시관으로 입장 청주 한월동 가옥에서 출토된 망세기와 (2005년 가옥 보수 중에 확인되었다 함) 청주읍성 성돌 2022. 10. 10. 해파랑길 33코스(동해) .... 2022.09.17 날씨 : 23.8~27.4℃, 대체로 흐림 코스 : 추암주차장~동해시 위생처리장~호해정~만경대~전천 잠수교~동해역~감추사~한섬해변~하평해변~묵호역 거리 : 14.9km 시간 : 3시간 25분 인원 : 산악회따라 내륙과 해안이 혼합된 도보길이다. 내륙을 지나면서 다소 지루한 감이 있지만 한섬해변과 고불개해변에서 이 보상을 충분히 받게 된다. 최근 해파랑길 33코스 트랙의 일부가 변경되었다.예전 천곡동 내륙을 통과하던 것이 해변길로 바뀐 것이다. 한섬해변과 고불개해변이 그동안 군사지역으로 묶였다가 동해시에서 개발, 최근 이 해안길이 개통되었다. 해파랑길 33코스 출발점 동해시 위생처리장 굴뚝 위생처리장 안쪽 길로 통과 도로가 끝나고 숲길 계단으로 진입 데크에 설치된 전망대에서 바라본 전천강 하구와 바다의 풍.. 2022. 9. 17. 추암 촛대바위(동해) .... 2022.09.03 해파랑길 32코스의 트랙 끝에 걸친 추암촛대바위에 들렀다. 예전에도 들러본 바 있지만 이번엔 전에 보지 못했던 출렁다리와 조각공원을 부가해서 더 돌아볼 수 있게 되었다. 추암촛대바위는 애국가 첫 소절의 배경화면으로 등장하는 곳이며, 겨울연가 촬영지이기도 하며, 한국 관광공사가 선정한 "한국의 가볼 만한 곳 10선"에 선정된 해돋이 명소이기도 하다. 예전의 탐방기 : https://san2000.tistory.com/15959625?category=1046037 능파대가 음각된 바위 예전의 전망대는 없어지고, 2021년 축조된 능파대 누각이 새로 생겼다. 촛대바위 주변의 절경 해암정 예전 추암촛대바위를 방문했을 때는 없었던 출렁다리를 건너보게 된다. 능파대의 절경 추암조각공원 2022. 9. 16. 이사부사자공원(삼척) .... 2022.09.03 해파랑길 32코스 트랙에서 살짝 벗어난 곳이다. 2013년에 들러봤던 곳이지만 옛 추억을 곱씹는다는 차원에서 다시 올라가 봤다. 공원의 구조는 예전 그대로인데 와우산에 전에 보지 못했던 쏠비치 호텔의 풍경이 추가되었다. 예전의 탐방기 : https://san2000.tistory.com/15959624?category=1046037 증산해수욕장과 와우산의 쏠비치 호텔 2022. 9. 16. 해가사의 터(삼척) .... 2022.09.03 해파랑길 32코스 트랙을 따라 걷다가 만나게 되는 곳이다. 2013년에 지나갔던 곳인데 증산마을 입석이 세워진 것 외에는 크게 달라진 것이 없었다. 기념비와 정자, 드레곤볼은 예전 그대로다. 뒤로는 쏠비치 호텔, 앞에는 증산해수욕장과 이사부사자공원, 추암 촛대바위가 보이는 곳으로 약간 언덕진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경관이 좋다. 예전의 탐방기 : https://san2000.tistory.com/15959623?category=1046037 기념비 정자의 이름은 삼국유사에 나온다는 임해정(臨海亭)인다. 드레곤볼은 삼국유사의 '해가'라는 설화를 토대로 복원하였다 하며, 볼을 돌려서 수로부인이 나오면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신라 성덕왕 때 순정공이 강릉태수로 부임하는 도중 임해정이라는 곳에서 점심을 먹고 .. 2022. 9. 16. 비치조각공원(삼척) .... 2022.09.03 해파랑길 32코스 트랙을 따라 걷다가 만나게 되는 곳이다. 2013년에 들러봤던 곳인데 당시와 크게 변한 것은 없었다. 새천년해안도로변을 따라 가다가 잠시 멈취 쉬었다 가기에 안성맞춤인 장소다. 예전의 탐방기 : https://san2000.tistory.com/15959622?category=1046037 동영상 2022. 9. 16. 죽서루(삼척) .... 2022.09.03 해파랑길 32코스를 진행하던 도중에 들렀다. 해파랑길 트랙에 포함된 장소는 아니지만 워낙 유명한 명승지라 그냥 지나칠 수는 없는 곳이다. 오십천 수변의 절경지에 위치한 죽서루는 관동팔경 중 한 곳에 속하는 명소다. 죽서루 입구 죽서루의 명칭은 누의 동쪽에 대나무숲이 있었고, 죽림 안에 죽장사(竹藏寺)라는 절이 있었다는 이유로 죽서루라 명명되었다고 한다. 또한 죽서루 동편에 죽죽선녀(竹竹仙女)의 유희소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다는 설도 있다. 아래 사진에서 검은 색깔 줄기의 대나무는 오죽이다. 죽서루 누각의 전면 누각 전면의 ‘죽서루(竹西樓)’와 ‘관동제일루(關東第一樓)’ 글씨는 1711년(숙종 37) 삼척부사 이성조(李聖肇)가 썼다. 누각으로 올라가는 돌계단 누각에서 바라본 오십천 풍경 죽서루(竹西樓)는 .. 2022. 9. 16. 해파랑길 31/ 32코스(삼척) .... 2022.08.20 날씨 : 25.7~32℃, 맑음 코스 : 궁촌레일바이크역~공양왕릉~동막교~부남교~덕봉대교~덕봉산(31/32코스)~맹방해변~한재소공원~한재 팔각정 거리 : 16.74㎞ (공양왕릉, 덕봉산 포함) 시간 : 3시간 34분 교통 : 산악회따라 해파랑길 31코스와 32코스 일부를 합쳐서 진행했다. 31코스는 트랙이 짧고, 32코스는 길다. 앞뒤 걷는 거리를 분할해서 알맞게 조정한 것이다. 이번 코스는 내륙길과 해안길이 혼합돼 있다. 시작 지점엔 뼈아픈 고려의 역사를 간직한 공양왕릉, 이어서 마읍천 수변을 따라 걷는 한적한 시골 마을길, 마읍천 하구에서 바다를 만나 덕봉산과 맹방해변의 명사십리를 따라 걷는 길, 옛 7번 국도가 지나가는 한재 언덕의 아름다운 풍경이 있는 팔각정에서 마감하게 되는 코스다. 궁촌정거장은.. 2022. 8. 20. 연꽃테마파크 & 관곡지(시흥) .... 2022.07.22 연꽃 개화시기다. 시흥시 관곡지의 연꽃테마파크를 다녀왔다.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주차가 만만치 않았다. 관곡지 예전 탐방기 : https://san2000.tistory.com/15959871 ▼ 관곡지(官谷池) 관곡지는 1988년 3월 3일 시흥시 향토유적 제8호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연꽃씨를 심어 경작하던 곳이다. 강희맹(姜希孟, 1424~1483) 선생이 중국 남경 전당지(錢塘池)에서 연꽃씨를 가져온 것. 시흥시 하중동 관곡에 있는 연못(위치: 하중동208)에 씨를 뿌리고 재배하기 시작하여 이후 널리 종자를 퍼트린 것이다. 한 때는 관곡지에 연지기를 두어 나라에서 관리하기도 했다. 관곡지 못을 연성이라 했으며, 연성동, 연성문화제(蓮城文化祭) 명칭도 이 못에서 비롯되었다. 연꽃밭 도로에.. 2022. 7. 22. 해신당공원(삼척) .... 2022.07.02 동해안 삼척 구간의 해파랑길 29코스를 진행하면서 들렀다. 해신당공원에는 애바위 전설이 깃든 해신당, 어촌민의 생활을 느낄 수 있는 어촌민속전시관, 해학적인 웃음을 자아내는 남근조각공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향나무 수령 500년 애바위 방향 애바위 줌인 해신당 해신당 내부 삼척 어촌민속전시관 해신당공원에 입구가 두 군다. 삼척로 도로변과 해변 쪽의 신남항인데 주차장과 매표소가 각각 있다. 2022. 7. 4. 이전 1 2 3 4 ··· 17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