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둔사지 삼층석탑(순천) .... 2022.10.16 전남 순천시 낙안면의 금전산 산행을 마치고 나서 들렀다. 전통사찰 제67호의 금둔사(金芚寺)는 문화재로 지정된 삼층석탑(보물 945호)과 석조불비상(보물 946호)을 보유하고 있다. 금둔사는 백제 때 창건된 천년고찰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나 18세기 후반에 폐찰 되었다가 1983년에 다시 중건하여 건축물에서 뿜어내는 고전미는 볼 수 없었다. 일주문 봄에 매화꽃이 좋다고 한다. 삼층석탑으로 가는 길 석굴 동림선원 터 해설판 비로자나마애불과 산신각 과거 7불과 미래에 출현할 53불을 조성한 불조마애불 불조마애불 확대 대웅전 대웅전 내부 범종각 2022. 10. 18.
임장서원(연천) .... 2022.10.08 경기도 연천군의 불견산 산행을 마치고 나서 들러봤다. 홍살문을 지나 주차장에 들어서면 신문이 있고, 이 문을 통과하면 '임장서원' 현판이 걸려 있는 대성전을 볼 수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의 목조 단층건물로 중앙에는 주자, 우측에 임계중, 좌측에 송시열의 위패를 각각 모시고 있다. 홍살문 신문 임장서원(臨璋書院)은 향토유적 제12호로서 양금재봉의 남쪽 얕은 구릉에 자리잡고 있다. 차탄천을 등지고서 앞에는 아미천이 흐르며, 산세가 중국의 주부자(朱夫子)가 자라났던 고부현 무이촌(武夷村)과 흡사하다 하여 '또 하나의 무이촌'이라는 뜻의 '부무이동'으로 불리기도 했다. 임장서원은 임계중(任繼重, 호 만절당)이 기묘사화(조선 중종) 때 정계를 은퇴하고 낙향하여 주자학을 연마하던 곳으로 무이정사(武夷精舍)를 모.. 2022. 10. 9.
공양왕릉(삼척) .... 2022.08.20 해파랑길 31코스를 진행하면서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릉(제34대, 재위기간 1389-1392)에 잠시 들렀다. 묘역에 풀이 많이 자란 걸로 보아 관리가 소홀한 것 같다. 얼마 전 경기도 고양시의 공양왕릉 묘역도 가봤으나 그곳은 묘역 주변이 깨끗하게 잘 정리되고 있었다. 지자체의 재정 능력에 따라 문화재도 관리 상태가 다르다는 걸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공양왕릉(恭讓王陵) 우리나라에 공양왕릉이 두 군데 있다.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의 사적 제191호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의 강원도기념물 제71호다. 둘 중 어느 쪽이 진짜인지는 명확치 않다고 한다. 공양왕은 고려의 마지막 임금인데, 고려왕조 몰락과 함께 폐위되어 왕자 석(奭), 우(瑀)와 함께 원주와 간성을 거쳐 삼척에서 조선 태조 3년(1394).. 2022. 8. 20.
율곡선생 유적지(파주) .... 2022.06.11 율곡기념관, 자운서원,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의 묘역, 이이신도비 등을 돌아볼 수 있는 곳이다. 율곡선생유적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자운산, 사방산, 파평산 산행을 마치고 나서 들러봤다. 신문(神門) 율곡 이이와 신사임당 동상 잔디광장 율곡기념관 기념관 1층 전시실 입구 기념관 2층 전시실 입구 율곡 이이 신사임당 재실 연못 여현문 신사임당 묘 율곡 이이 묘 외삼문(자운문) 수양재(좌), 입지재(우), 강인당(중앙) 입지재 수양재 강인당 내삼문 문성사 자운서원약수터 (음용불가 판정) 2022. 6. 11.
미암리사지 석조관음보살입상(증평) .... 2022.02.06 청주시 미원면의 미동산과 학당산 산행을 마치고 나서 증평시내를 거쳐 귀가하던 중에 잠시 들렀다. 고려 전기의 석불이라고는 하나 표면이 너무 희고 깨끗해서 여느 석불에 비해 고풍스러운 느낌이 없었다. 2022. 2. 7.
괴산 송병일 고택(괴산 청천면) .... 2022.02.06 미동산과 학당산 산행을 마치고 나서 지인께서 미원면으로 차량을 회수하러 간 사이에 잠시 들러봤다. 괴산군 청천면에 있는 고택으로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전통가옥이다. 우암 송시열의 종손들이 6대에 걸쳐 이곳에 살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충북실버요양원에서 관리하고 있어 고택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요양원 측에 허가를 구해야 한다. 사랑채 안채 사당 곳간 안채의 장독대 대문 2022. 2. 7.
화석정(파주) .... 2022.01.22 파평산 산행을 마치고, 귀갓길에 잠시 들렀다. 화석정(花石亭)은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의 37변 국도변에 있는 조선시대 양식의 건축물이다. 임진강이 잘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다. 율곡리는 이이의 고향이며, 이이가 제자들과 학문을 논하면서 여생을 보냈던 곳이라 한다. 당시 서원도 있었으나 현재 화석정만 남았다. 화석정의 현판 글씨는 古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이다. 느티나무 / 560년 / 높이 12m, 둘레 4.5m / 보호수 지정일 1982년 10월 15일 향나무 / 230년 / 높이 10m 둘레 1.2m / 보호수 지정일 1982년 10월 15일 2022. 1. 22.
파산서원(파주) .... 2022.01.22 파주시에 소재한 파평산 산행을 마치고 들러봤다. 경사가 심한 파산(坡山)을 배경으로 하고, 앞에는 우계(牛溪)가 흐르는 전형적인 배산임수 지역에 서원을 건립하였다. 경내 건물은 사당과 삼문 등 배향 공간만 존재하는 단조로운 형태다. 서원 앞의 홍살문 신문(신삼문) ▼ 파산서원(坡山書院)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에 있는 서원이다. 1983년 9월 19일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중기 문신이며, 학자인 성수침(成守琛), 성수종(成守琮), 성혼(成渾), 백인걸(白仁傑)의 위패를 봉안하고, 유생을 양성하던 곳이다. 사당은 전면 3칸으로 소박하게 지어졌으며, 내부에는 성수침을 주벽에 안치하고, 좌우에 성수종, 백인걸, 성혼을 배향하였다. 불에 탓을 거라는 느티나무 고사목 서원의 왼쪽에 자리잡고 .. 2022. 1. 22.
용미리 쌍미륵불(파주) .... 2021.12.11 박달산을 산행하기 위해 목적지로 가던 길에 들렀다. 용암사 대웅보전 뒤에 있다. 쌍미륵불이라고도 하고, 마애이불입상이라고도 한다. 2021. 12. 11.
풍수원성당 & 유물전시관(횡성) .... 2021.11.27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의 화채봉과 하나산 산행을 마치고 나서 풍수원성당에 들렀다. 하나산 날머리에서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에 위치하고 있는 풍수원성당까지 거리는 18.6km, 차량으로 27분 소요되었다. 풍수원성당 : https://blog.daum.net/san2000/15959864?category=1479245 풍수원성당 유물관 : https://blog.daum.net/san2000/15959865?category=1479245 유현문화관광단지 유물관 : https://blog.daum.net/san2000/15959867?category=1479245 구 사제관 정규하 신부님 동상이다. 지난번 방문 때는 보지 못했다. 정규하(鄭圭夏) 이우구스티노 신부님 1863년 8월16일 출생(충청남도 아산군 신.. 2021. 11. 27.
고려직제학 양수생 처 열부이씨려 (순창) 무량산과 용궐산 산행을 마치고나서 들러봤다. 귀미마을 어귀에 있는 비각과 정자다. 마을 안쪽에는 남원 양씨 종택과 귀문각이 있다고 하는데 시간이 부족해서 거기까지 돌아볼 수는 없었다. 남원 양씨(楊氏) 종택에는 보물 제725호가 있다고 한다. 고려직제학양수생처열부이씨려(高麗直提學楊首生妻烈婦李氏閭) 비각의 비석에 선명한 글씨로 '고려직제학양수생처열부이씨려(高麗直提學楊首生妻烈婦李氏閭)'라 음각돼 있다. 비각 옆에 '열부숙인이씨사적비(烈婦淑人李氏事蹟碑)'가 세워져 있다. 1377년 양수생의 부인 이씨가 임신 중에 남편과 사별하자 친정 부모는 당시 풍습대로 수년에 걸쳐 개가를 권유했다. 이씨부인은 개가를 거절하고, 유복자 양사보(楊思輔)를 등에 업고, 남편과 시아버지의 과거합격증인 홍패(시아버지 양이시는 공민왕.. 2021. 11. 22.
장지현 장군 사당(영동) .... 2021.11.14 학무산, 마암산 산행을 마치고, 귀갓길에 장지현 장군의 유적지를 돌아봤다. 장지현 장군 순절비, 장지현 장군 전적기념비, 장지현 장군 사당인 충절사가 4번 국도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비각 장지현 장군 순절비 장지현 장군 전적비 장지현 장군 사당 = 충절사 충절사 내부 의병장 장지현(張智賢 1536~1593) 자는 명숙(明叔), 호는 삼괴(三槐)이며, 병마절도사 장필무(張弼武)의 아들로 충청북도 영동읍 매천리에서 태어났다. 1590년(선조 23) 지략(智略)으로 천거를 받아 전라도 병마절도사 신립(申砬)의 추천으로 부장(部將)이 되었다. 1591년 감찰에 올랐으나 사직하고 향리로 돌아왔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용맹을 인정받아 비장(裨將)으로 발탁되었다. 1593년 부하 2천 여명과 황간의 추풍령에.. 2021. 11. 14.
내연산 12폭포(포항) .... 2021.10.31 보경사 12 폭포라고도 한다. 내연산 기슭, 보경사 상류 쪽에 있다. 절에서 위쪽으로 약 4km 계곡까지 12개의 폭포가 연이어져 있어, 그야말로 폭포의 왕국이다. 내연산 남쪽의 천룡산을 산행하던 중에 청하골 광천계곡을 따라 하산하면서 내림차순으로 폭포를 구경 했다. 그 중 실폭포(11번 폭)는 등로에서 떨어져 있어 들러보지 못하고 그냥 지나쳐왔다. 12. 시명폭포 지금은 없어진 화전민촌인 시명리(時明理) 마을 어귀에 자리한 폭포로 12폭포 중 맨 위쪽에 위치해 있다. 11. 실폭포 시명리로 가기 전 잘피골 골짜기로 잠깐 접어들면 30여 마치 벼랑에서 실타래를 풀어 내리는 듯한 가느다란 폭포가 나타나는데, 실같이 가늘다 하여 그렇게 부른다.(들러보지 못했음) 10. 복호2폭포 호랑이가 곧잘 출몰하여 바위.. 2021. 11. 1.
보경사(포항) .... 2021.10.31 경상북도 포항시의 내연산 산행을 마치고, 보경사 경내를 돌아봤다. 큰 사찰은 아니지만 국가가 지정한 보물이 있고, 규모가 그리 크진 않지만 균형 잡힌 건축물에서 천년고찰다운 면모를 느껴볼 수가 있다. 영일군지(迎日郡誌)에 따르면 보경사의 소재지인 송라면은 까마득한 옛날에는 예맥조선에 속했으며, 그 후 고구려가 건국된 뒤 이 지역을 점령하고, 아현(阿縣)을 두었는데, 다시 신라가 점령한 뒤엔 아해현이라 칭하고, 지금의 고현리에 현을 두었다 한다. 보경사가 창건된 것은 바로 이 신라 진평왕 24년(602년) 진나라에 들어가 유학하고 돌아온 지명(智明)법사에 의해서였다. 그는 진에서 돌아올 때 어느 노인에게서 팔면보경(八面寶鏡)을 얻어왔다. 그 팔면경은 일찌기 마등(摩謄)과 법란(法蘭) 두 대사가 천축에서 불.. 2021. 11. 1.
송담재(영동) .... 2021.09.05 충북 영동군 용산면에 소재한 박달산 산행을 마치고나서 귀가길에 들러봤다. 송담재는 송담 디스크골프 전용구장과 같은 장소에 나란히 위치해 있으며, 아직 공사 중인 상태다. 송담재를 구경하고나서 경치가 좋은 초강천 수변을 돌아봤다. 정경(鄭瓊/ 1490∼1564) 자(字)는 언진(彦珍), 호(號)는 율재(栗齎), 조광조(趙光祖), 김정(金淨)의 문인, 조선 중종(中宗) 때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에 천거된 후 동래 부사(東萊府使)를 거쳐 상주 목사(尙州牧使)가 되었고, 그의 청렴 결백함이 중국(中國)에 까지 알려져 천조(天朝)로부터 금대수영(今帶綉纓)을 받았으며 기묘사화, (己卯士禍)가 일어나자 향리(鄕里)에 내려가 은거생활을 하였다. 2021. 9. 5.
신항리 석조삼존불입상(영동) .... 2021.09.05 충북 영동군 양강면에 소재한 이바위산 산행을 마치고나서 용산면에 위치한 박달산으로 산행을 하기 위해 이동하던 중에 잠시 들러봤다. 마을유래비가 있는 신흥 1리 마을 입구의 누각에 '신항리 석조삼존불입상'이 보존되어 있다. 2021. 9. 5.
천흥사지(천안) .... 2021.06.26 천안의 성거산 산행을 마치고나서 돌아봤다. 고려 초에 창건돼 조선시대에 폐사된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왕실사찰 절터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유물로는 천흥사 5층석탑((보물 제354호)과 천흥사 당간지주(보물 제99호)가 남아있다. 2021. 6. 26.
이지당(옥천) .... 2021.06.13 환산/고리봉 산행과 옥천의 비경인 부소담악을 돌아보고나서 빠져나오던 길에 이지당(二止堂)을 들렀다. 옥천 이지당은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이백리에 있는 건축물로 조선 중기의 서당이었다. 1977년 12월 6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42호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1월 18일 문화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국보(보물 제 2107호)로 승격되었다. 데크를 따라서 진입하다가 좌측의 기암에 새겨진 문구를 훓어보고 간다.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인 중봉 조헌(1544∼1592)이 제자들을 가르치던 서당이다. 지금 있는 건물은 세월이 흘러 퇴락한 것을 광무 5년(1901)에 옥천의 금씨, 이씨, 조씨, 안씨 네 문중에서 다시 지은 것이라 한다. 처음에는 각신마을 앞에 있어서 각신서당이라고 하였다. 그 후 우암 .. 2021. 6. 14.
고찰 남장사(상주) .... 2021.01.24 상산 삼악(三岳) 중 한 곳이라는 노음산(노악산) 산행을 마치고, 천년 고찰 남장사를 돌아봤다. 부속암인 중궁암과 관음선원은 하산길에 들렀다. 고찰답게 고풍미 물씬 풍겨나는 단청의 멋과 고즈넉한 분위기가 감도는 아담한 사찰이다. 범종루 남장사는 ~ 832년(흥덕왕 7) 진감국사(眞鑑國師)가 창건, 장백사(長柏寺)라 하였다. 1186년(명종 16) 각원(覺圓)이 지금의 터에 옮겨 짓고, 남장사라 하였다. 1203년(신종 6) 금당(金堂=법당)을 신축 1473년(성종 4) 중건 후 임진왜란 때 소실 1635년(인조 13) 정수(正修)가 금당 등을 중창. 1621년(광해군 13) 명해(明海)가 영산전(靈山殿)을 신축 1704년(숙종 30) 진영각(眞影閣)을 신축 1709년 민세(旻世)가 영산전을 중수 1761.. 2021. 1. 24.
수운교(대전) .... 2020.12.27 수운교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동학 계통의 신종교다. 동학 창시자인 수운(水雲) 최제우를 교주로 이상룡이 창시하였고, 1923년 10월 15일 서울에서 개교하였다.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추목동의 금병산 아래에 본부를 두고 있다. 금병산 산행을 마친 후 돌아봤다. 수운교 본부사무실 수운교 도솔천 전경 수운교 종각 종각 안에 있는 범종 광덕문 보화문 보화문 바깥에서 바라본 도솔천 건물 다른 문은 굳게 잠겨 있었으나 용호문이 마침 열려있어 도솔천 경내를 구경할 수 있었다. 용호문을 통과해서 만나는 청정수 도솔천 정문격인 광덕문 도솔천 수운교 석종 법회당 봉령각 2020. 12. 27.
천년고찰 보석사(금산) .... 2020.11.29 진악산 산행을 마치고나서 천년고찰 보석사에 들렀다. 마루금의 옛날 외갓집에서 멀지 않은 곳이라 수 차례나 들러봤던 곳이지만 보석사에 올 때마다 자연히 옛 향수의 추억이 서려진다. 보석사라는 이름은 절 근처에서 캔 금으로 불상을 주조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 한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고종 때 민비가 중창했다는 뜻깊은 역사를 지니고 있는 사찰이다. 옛 탐방기 → 보석사 2020. 11. 30.
덕양전(산청) .... 2020.05.17 왕산 산행 전에 들렀다. 산악회 버스로 산행들머리가 있는 주차장으로 가다가 약 1Km 거리 못미쳐에서 일행 6명이 먼저 하차했다. 덕양전((德讓殿)은 가락국 제10대 왕인 양왕과 왕비, 두 분의 위패를 모신 재실이다. 덕양전(德讓殿) ~ 경남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에 있는 가락국 제10대 왕인 양왕과 왕비, 두 분의 위패를 모신 재실이다. 금서면의 왕산 북쪽 기슭에 가락국 최후의 왕 구형왕의 능이라고 전해온 석총이 있었는데, 1793년(정조 17)에 김해김씨 문중에서 여기에 가락국양왕릉(駕洛國讓王陵)의 비석과 각종 석물을 신설하여 왕릉의 형식을 갖추었다. 이 때 왕릉의 수호와 재실을 겸하여 덕양전을 창건하고, 종전에 왕산사(王山寺)에 전하여온 기록 및 구형왕과 왕비의 영정을 봉안하였다. 1983년 7월 2.. 2020. 5. 17.
소진정(거창) .... 2020.05.10 감악산 산행을 마치고 시간이 남아 잠시 들러봤다. 거창 소진정(溯眞亭)은 조선 명종 때의 문신인 도희령(都希齡 1539~1566)의 후손들이 1920년에 포연대(鋪淵臺) 언덕 위에 건립한 정자라 한다. 도희령은 홍문관 저작을 역임하였으며, 남명 조식과 종유하였었는데, 조식이 1549년 8월초에 이곳에 와서 소진정 아래 부소연(가매소)에서 목욕하며, "욕천"이라는 칠언절구 시를 남겼다. 이를 기리기 위해 이 정자를 지었다고 한다. 도희령 선생은 1548년(명종 3년) 어머니 삼년상을 치르고 상복을 벗었다. 처가인 김해에서 합천군 삼가면 토동으로 돌아와 계부당(鷄伏堂)과 뇌룡사 (雷龍舍)를 짓고 후학들을 가르쳤다. 이듬해 추석이 막 지날 때 제자들과 거창 감악산을 유람했다. 선생이 감악산을 오른다는 소식에 .. 2020. 5. 11.
지리산 실상사(남원) .... 2020.04.25 지리산 7암자 순례길 산행의 마지막 탐방지로서 들러봤다. 신라 고찰인 지리산 실상사(實相寺)는 단일 사찰로는 가장 많은 17점의 지방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천왕문 ~ 옛 기와탑 ~ 경내 밖의 연못 ~ 2020. 4. 26.
천년고찰 마곡사(공주) .... 2020.03.13 철승산과 태화산 산행을 마치고 들렀다. 보물 제 800호 영산전, 보물 제801호 대웅보전, 보물 제802호 대광보전, 보물 제799호 5층석탑 등 그 외에도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사찰이다. 640년(신라 선덕여왕 9) 창건하였으나 수 차례 중건되었다 한다. 해탈문 ~ 천왕문 ~ 포토죤 ~ 대웅보전 ~ 마지막으로 마곡사를 본 게 꼭 35년 전이다. 야유회 목적으로 여러 차례 이곳을 왔었으나 당시와는 주변 풍경이 너무나 달라졌다. 2020. 3. 13.
정몽주선생 묘역(용인) .... 2019.09.15 경기도 용인의 향수산에 연계한 문수산 산행을 마치고 들렀다. 고려조의 충신 정몽주 선생의 묘역과 조선조의 명재상 이덕형 선생 묘역을 돌아봤다. 포은선생 신도비 ~ 묘현당 ~ 단심가비 ~ 백로가비 ~ 정몽주의 묘 ~ 본래 원형봉토분으로 곡담이 있었고, 석물은 계체석과 상석 2기, 묘표 1기, 문인석 2기만 있었다. 1972년 경기도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면서 동년 12월에 상석을 교체하였고, 1974년에는 곡담 35m를 보수한 것을 비롯하여 봉분에 호석과 난간석을 돌렸으며, 문인석, 양석, 장명등을 새로 조성하였다. 1980년대에는 대대적인 정화사업을 실시하여 묘를 수축하고, 재실 경역에 있는 민가 3채를 이전하였고, 마을 입구에 있는 신도비에 비각(碑閣)을 건립하였다. 2003년에는 전사청인 모현당(慕賢堂.. 2019. 9. 15.
성주사지(보령) .... 2019.08.16 성주산 산행을 마치고나서 빠져나오는 길목에 위치해 있어 들러봤다. 폐사 돼 사지만 남았지만 어마어마한 넓이라 얼핏 봐서도 대가람이었음을 쉽게 짐작할 수가 있다. 백제 때는 오합사라 했고, 통일신라 때는 성주사라 했다. 넓다란 사지에 그나마 유물 몇 기가 남아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었다. 관리사무소 ~ 성주사지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국보8호) 성주사지 5층석탑(보물19호)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보물20호)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보물 47호)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보물 2021호) 성주사지 석등(도지정 유형문화재 33호) 성주사지 석계단(문화재 자료 140호)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이 오층석탑이다. 오층석탑 뒤편에는 3기의 석탑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 서있다. 모두 삼층석탑으로 신라 하대의 .. 2019. 8. 17.
심복사(평택) .... 2019.06.29 평택 마안산 산행과 둘레길 일부를 마치고나서 들러봤다. 보물 제565호로 지정된 심복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 있다는 곳이다. 고려시대 사찰로서 현재 건축물 일부를 수리 중에 있으며, 규모는 아담한 편이다. 광덕산심복사 ~ 심복사(深福寺) ~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심복사길 22, 광덕산(廣德山)에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다.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고려시대 사찰이라 전한다. 수 차례 중건과 중수를 거쳤다. 1575년(선조 8) 중건 1705년(숙종 31) 중수 1767년(영조 43) 중건 1825년(순조 25) 중건 1875년(고종 12) 단청 1934년 영조(永祚)가 중건 1978년 정준(正俊)이 중건 건축물 ~ 법당인 대적광전(大寂光殿)을 비롯, 중건한 지 수백.. 2019. 6. 29.
죽주산성(안성) .... 2019.04.27 비봉산에 있는 산성이다. 이곳을 산행 들머리로 잡고서 성 외곽을 일주했다. 1987년 죽주산성 옆에 건립됐다는 성은사(成恩寺) ~ 죽주산성 입구 ~ 동문 ~ 송문주 장군 영각 ~ 비봉산 ~ 남문 ~ 남문 ~ 내성 ~ 포루 ~ 포신 구멍 ~ 북문 ~ 서문을 지나면 비봉산으로 이어진다 ~ 2019. 4. 27.
봉업사지(안성) .... 2019.04.27 비봉산을 산행하기 전에 죽산향교를 먼저 둘러보고나서 봉업사지에 들렀다. 봉업사지 규모가 얼마일지는 모르겠으나 그 부속물이 여러 곳에 퍼져 있다. 위 지도에 표시된 위치에서는 봉업사지 오층석탑 & 죽산리 당간지주 & 송문주 장군 동상 등이 부근에 모여있다. 고려시대 초기 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경기도 내의 탑들 중에 조형미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 죽산리 당간지주 ~ 둘레길인 영남길이 봉업사지를 거쳐간다 ~ 당간지주 앞 교차로에 송문주 장군 동상이 보인다 ~ 위 지도에 표시된 위치에서는 죽산리 3층석탑과 죽산리 석불입상을 볼 수 있다 ~ 밭가운데 있던 죽산리 삼층석탑은 기단 면석이 땅에 묻혀 온전한 모습을 알기 어려웠으나 발굴조사에서 그 구조가 밝혀졌고, 주변을 보기좋게 정비하였다.. 2019. 4. 27.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