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 예시: 게시물이 존재할 경우 6건을 노출합니다.
-
칠성봉~천주봉~대성산(단양) .... 2023.02.05
산행날씨 : -11.0 ~ 5.4℃, 맑음 산행코스 : 단양휴게소(중앙고속도로 부산방향)~텃골~송전탑~537.1봉~칠성봉(574m)~과게이재~삼각점(적성터널 위)~석회광산~526.2봉(삼각점)~천주봉(579.2m)~석회광산~535.9봉~473.5봉~5번 국도~군사훈련장~356.7봉~도담삼봉 등산로에 합류~356.9봉~팔각정(충양정)~대성산(380.1m)~단양군청 산행거리 : GPS거리 13.64Km 산행시간 : 7시간 52분 산행인원 : 산악회 따라 자유팀으로 5명 산악회의 산행지는 소백산인데 주최측의 허락을 얻어 자유팀을 구성해서 충북 단양군에 있는 칠성봉, 천주봉, 대성산을 연계해서 다녀왔다. 금수산에서 갈라져 나온 금수지맥의 산봉들로서 칠성봉과 천주봉은 오지의 산이고, 대성산은 단양군청 뒷산으로 근..
2023.02.07
-
강화 고인돌공원 .... 2023.02.04
강화나들길 18코스를 진행하던 도중에 들러보게 되는 곳이다. 선사시대에 탄생하여 3000여 년 동안 굳건히 자리를 지켜온 강화지석묘와 고인돌 유적지는 2000년 12월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강화 부근리 지석묘 (사적 137호) 강화 부근리 고인돌군(지방기념물 44호), 총 13기
2023.02.07
-
강화자연사박물관 .... 2023.02.04
강화나들길 18코스 트레킹을 마치고 나서 들렀다, 먼저 강화역사박물관 관람을 마치고, 이어서 강화자연사박물관 관람시간을 가졌다. 강화자연사박물관은 2015년에 개관했다. 여기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광물과 생물들을 각각의 특별한 주제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는데 예상외로 볼거리가 풍부하다. 강화역사박물관 건물 옆에 있음, 강화역사박물관 티켓으로 입장 가능 로비에 2009년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에서 발견되었던 길이 14.5m, 무게 20톤의 향유고래가 전시돼 있다. 우리와 함깨 사는 곤충
2023.02.07
-
강화역사박물관 .... 2023.02.04
강화나들길 18코스 트레킹을 마치고 나서 들러봤다. 강화역사박물관은 2010년 10월 23일 개관하였다. 지하 1층, 지상 2층 구조의 건물로서 지상 1층의 전시실, 영상실, 2층의 전시실을 관람할 수 있다.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강화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강화도에 관한 역사와 문화를 학습, 체험할 수 있다. 바로 옆에는 강화자연사박물관, 강화고인돌공원이 붙어있어 두루두루 볼거리가 있다. 입장료 있음 토기 편 기와 편 졸업장, 문서류, 문갑, 성냥갑 등 사진, 책자 등 토기류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삼국시대 고리자루칼 고려시대 조선시대 사고 양현수, 어재연 상장, 졸업장, 교과서, 됫박, 손저울, 생활용구 등 강화 반달이 강화도 5진 7보 54돈대 강화 화문석 유서통, ..
2023.02.05
-
강화나들길 18코스 .... 2023.02.04
날씨 : -8.0℃ ~ 4.4℃, 맑음 코스 : 강화역사박물관~석조여래입상~양오저수지~화문석문화관~수문(다송천)~부근리고인돌~강화지석묘~강화역사박물관 거리 : 12.90Km 시간 : 2시간 53분 인원 : 나홀로 18코스 테마는 '왕골공예 마을 가는 길'이다. 그러나 그 어디에서도 왕골공예 마을을 구경하지 못했다. 강하게 남은 기억이라곤 지석묘와 고인돌뿐, 차라리 다른 내용을 테마로 삼았으면 어땠을까 싶다는 사견이다. 코스는 산길을 거쳐가는 구간이 약간 있으나 그리 어렵지 않으며, 원점회귀로 진행되므로 교통편을 자차로 이용하면 차량회수에 대한 고민은 없어진다. 강화역사박물관이 18코스 시점이자 종점이다. 트랙은 시점에서 봉천산 오층석탑 방향으로 이어진다. 봉천산을 바라보고 출발 꺾어서 자연사박물관 뒤로 ..
2023.02.04
-
강화나들길 19코스 .... 2023.02.02
날씨 : -6.7℃ ~ 0.2℃, 맑음 코스 : 동촌~석모도회센터~상주정류장~19코스 종점에서 우측으로 진행~새넘어고개~19코스 종점 거리 : 10.25Km 시간 : 1시간 51분 인원 : 나홀로 '석모도 상주 해안길'이란 테마가 붙여진 코스다. 동촌 마을에서 상주 마을까지 연결되는 제방길의 거리가 반, 상주산 순환길의 거리가 반쯤이다. 뚝길은 평탄하게 진행되지만 상주산 순환길은 약간의 오르내림이 가해진다. 제방길에서는 강화도의 별립산, 고려산, 혈구산, 퇴모산이 조망되며, 상주산 순환길에서는 교동도가 조망된다. 교통편은 동촌까지 자차를 이용했으며, 차량 회수는 교통편이 마땅치 않아서 도보로 진행했던 길을 역주행으로 되돌아 나왔다. 역주행에 50분 걸렸다. 19코스 시점 (동촌 마을의 석모대교부동산 앞)..
2023.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