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날씨 : -2.7 ~ 11.9 ℃, 흐림
산행코스 : 경기광주역~광주고교~칠보사~칠사산(363.7m)~반천초교~상번천 삼거리~가로등 자동점멸기 뒤쪽 펜스문~299.4봉 우회~군월산(380m)~시청 갈림길~광주수도지사~밀목빌라정류장
산행거리 : GPS거리 12.94 km
산행시간 : 4시간 24분
산행인원 : 2명(전철+버스 이용)
삼일절 산행으로 경기도 광주시 도심지의 뒷산인 칠사산과 군월산을 연계해서 다녀왔다. 전형적인 육산이고, 고도 370m 급으로 높지 않아서 산행엔 크게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두 산을 이어가기 위해서 도로를 연결해 가는 과정이 좀 복잡한 편이다. 특히 군월산 들머리는 지형지물이 없어 설명이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다.
경기광주역에서 출발
칠사산 들머리인 광주교교까지 도보로 이동했다.(경기광주역에서 광주고교까지 거리 : 2.8km)
좌측은 광주교교 정문이고, 우측은 칠보사 진입로인데 이 도로를 따라서 칠보사로 올라간다.
칠보사
간이쉼터
약수터
산불감시카메라 + 팔각정
팔각정 전망안내판
나중에 가야 할 시청 뒤쪽의 군월산
KBS 중계탑
▼ 칠사산(七士山/ 363.7m)
광주시 송정동, 초월읍 지월리, 남한산성면 하번천리 경계에 걸친 산이다. 중정남한지에 “칠사산(七士山)은 경안면(慶安面)의 동쪽에 있다. 속설에 고려 말 학사 일곱 명이 이곳에 은거하여 시를 짓고, 고기 잡고, 나무하면서 스스로 즐겁게 살았기 때문에 후세 사람들이 그들의 높은 풍도(風道)를 사모하여 이름을 붙인 것이라고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칠학사(七學士)가 숨어 살던 칠사산'이라는 설화가 구전되어 오고 있다.
정상석 + 삼각점 + 칠사정
칠사정 뒤쪽 삼거리에서 좌측 능선으로 진행
칠사산 북릉
송전탑 밑으로 통과
장작산
칠사산 날머리에서 군월산 들머리 잇기
번천초교 정문→광주톨게이트 입구(중부고속도로)→상번천 버스정류장→번천삼거리 버스정류장→43번 국도 건너감(횡단보도가 없으므로 주의를 요하는 지점임)→43번 국도를 따라서 220m 이동(가로등 자동점멸기 박스 있음)→펜스문을 돌아 들어가서 능선으로 올라감
군월산 들머리
펜스문을 돌아 들어감
펜스문 통과 후 능선으로 진행
299.4봉 허릿길로 우회
원형철조망이 설치된 삼거리 안부
능선 오르막
오르막 중간 쉼터
오르막
군월산 정상
군월산(軍月山/ 380m)
광주시 회덕동과 남한산성면 상번천리 경계에 걸친 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군월라산(軍月羅山)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지역에서는 둥그레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주 동쪽 15리에 있다."는 기록이 있다. 남한산 남쪽기슭에 자리 잡고 있어 옛날에는 남한산성의 보장지로 활용되었다. 즉 남한산성을 방어하기 위하여 척후병들이 이 산에 올라 적정을 살폈다고 한다. 중정남한지의 기록에는 주맥이 청량산(淸凉山)이라고 되어있다.
망덕산, 청량산 스카이라인
칠사산 스카이라인
중부고속도로
삼거리
이곳 삼거리에서 등산로 폐쇄 방향으로 진행했다. 예전 칠사산으로 가기 위해 이 길로 갔던 적이 있어서다.
그러나 ~
위 이정표 삼거리에서 등산로 폐쇄 팻말이 붙여진 이유를 날머리에 도착해서야 알게 되었다. 광주수도지사 확장공사로 인해 길이 막혀있었는데 다행히 담장 한 군데가 열려있어서 그리로 빠져나가 마을로 내려설 수 있게 되었다.
칠사산
뒤돌아본 군월산
밀목 마을에서 산행을 마쳤고, 경기광주역까지는 노선버스를 이용했다.
참가 : 새벽 마루금
'산행*여행 > 산길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봉산(세종시) .... 2025.03.08 (1) | 2025.03.08 |
---|---|
상주산(강화 석모도) .... 2025.03.02 (0) | 2025.03.02 |
강화 마니산 (참성단 천재궁터) .... 2025.02.26 (1) | 2025.02.26 |
회룡포 비룡산(예천) .... 2025.02.23 (0) | 2025.02.24 |
명성산(철원) .... 2025.02.16 (1) | 2025.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