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구간까지 중화지구를 거치면서 동네 뒷산과 같은 야산지대와 밭, 과수원 등 마을 근처를 지나왔다. 중화지구는 상주의 옛 땅 이름인 중모현(모동, 모서)과 화령현(화동, 화서, 화남, 화북)을 합하여 '중화지구'라 불리고 있다. 백두대간 중 고도가 가장 낮은 별다른 특징 없는 상주 땅인데, 이 지역 특산물로 삼백(누예, 쌀, 곶감)이 유명하며, 고랭지 포도밭을 자주 만난다. 오늘 화령을 떠나면서 이제껏 발길을 올렸던 중화지구를 벗어나 속리산군 초입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비재 ~
비재를 출발해서 510봉 통과 ~ 안부를 지나 다시 급하게 오르면 큰 암봉이 나타난다. 이 암봉 우측으로 우회해서 약 10분쯤 더 진행해 가면 조망바위가 나타난다. 우회로가 있지만 바위벽으로 붙어본다. 나무 두 그루를 붙잡고 올라 좌로 틀면 조망바위 정상이다.
조망바위 벽등반 ~
지나온 봉황산 ~
구병산 ~
가야할 암릉구간 봉우리 ~
조망바위에서 진행 방향으로 조금 가면 조망바위 안내표지를 만나고. 바로 위의 무명봉을 올라서면 바위가 깔린 암릉길이다. 내려섰다가 다시 깔딱이 급경사 오르막 ~
암릉지역을 통과해서 내려서는 길에는 굵은 흰 밧줄이 두 곳 설치되어 있다. 이곳을 지나면 바로 앞에 큰 바위들이 또 가로막고 있는데, 멋진 소나무가 그 위에서 자라고 있다. 근처 바람이 없는 곳을 찿아 잠시 머물면서 중식과 휴식을 취했다.
지루한 오르막이 끝나면 등산로가 우측으로 꺾이고, 삼거리를 지나면 오늘 처음 만나는 이정표(억시기/갈령 삼거리1.7km/비재2.3km)가 나타난다. 억시기라는 마을 이름이 특이하다. 더 올라가면 충북알프스 표지판이 보이는 곳에서 능선이 분기되어진다. 진행방향은 우측으로 ~
못제 도착 ~
백두대간상 유일한 습지이다. 못제 설명판이 있고, 긴 의자 여러 개가 놓여져 있다.
못제 ~
못제 쉼터 ~
헬기장을 지난다. 헬기장임을 표시한 보도블럭을 걷어내 한쪽에 쌓아 놓았다. 헬기장에서 내리막을 지나면 암릉지대를 만나 좌로 우회, 조금 내려섰다가 다시 오르면 또 암봉이다. 좌측으로 우회하는 길도 나있지만 슬랩으로 바로 올라붙어서 암봉인 무명봉 정상에 도착한다. 사방이 트여 주변 조망이 매우 뛰어나다.
봉황산 ~
구병산 ~
두리봉 ~
갈령 삼거리 ~
갈령삼거리 도착 ~
이정표(천왕봉6.6km/ 비재3.6km/ 갈령재1.3km)가 있고, 또 다른 이정표(천왕봉, 우복동천6.6km/ 형제봉, 우복동천0.7km/ 갈령,우복동천 1.3km/ 비재,백두대간, 충북 알프스3.6km)가 있고, 119 구급표시(속리산65번 지점)가 있고, 긴 의자 4개가 설치되어 있다. 오늘의 백두대간 구간은 여기까지 ~
뒤돌아본 형제봉 ~
속리산 천황봉 ~
상주시 화남면 동관리에서 화북면 상오리로 넘어 가는 해발 443m의 고개로서 977번 지방도로 위에 있는 고개다. 6.25 전쟁 때 한국군 제17연대가 인민군을 맞아 첫 승리한 화령장전투를 벌인 곳이다. 갈령삼거리에서 갈령까지는 대간길 접속구간이다.
END . . .
'대간*정맥 > 백두대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20구간(갈령~속리산~법주사) 2편 ......... 2010.12/12 (0) | 2010.12.14 |
---|---|
백두대간 20구간(갈령~속리산~법주사) 1편 ......... 2010.12/12 (0) | 2010.12.13 |
백두대간 19구간(화령~봉황산~갈령) 1편 ......... 2010.11/28 (0) | 2010.11.30 |
백두대간 18구간(신의터재~윤지미산~화령) ......... 2010.11/14 (0) | 2010.11.11 |
백두대간 17구간(개터재~백학산~신의터재 ) ......... 2010.10/24 (0) | 2010.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