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뫼이름들~

홍천 가리산(加里山) - 2편

by 마루금 2006. 8. 16.

 

'갈' 무리의 땅이름들 

 

'갈' 무리의 땅이름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 가리/가락/가야(加羅:가라/駕洛/加耶)
(참조: 옛글 모음자의 "아래아"와 "반시옷"을 표식하지 못하므로 그 부분은 적색 처리 하였슴)
삼국시대 고구려 땅이었던 강원도의 간성군(杆城郡)은 삼국사기지리지에는 '가아홀'(加阿忽)로 나오고세종실록지리지에는 '가라홀'(加羅忽)로 일컫기도 한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가랏골'의 한자 표기로 볼수 있다. 김해지방의 '가라'(加羅,駕洛,加耶)는 낙동강의 지류 때문에 붙여진 지명이며, 결국 낙동강(洛東江)이란 지명도 '가락(加洛)동쪽의 강'이란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산이나 고개 이름도 가라산(加羅山: 경기 고양 지도읍 토당리), 가라치(加羅峙: 강원 김화군 임남면), 가라지령(加羅址嶺: 평남 맹산군 화촌면), 가라지봉(加羅支峰: 1420m, 함남 무산군) 등이 있고, 마을 이름에도 가라(加羅: 경북 영천 화북면 입석리), 가라골(加羅谷: 경북 영천 금호읍 삼호리), 가락골(加洛洞/ 佳樂里: 서울 송파구/ 충북 청주 옥산면/ 황해 은율군) 등이 있다. 경남 합천군, 충남 예산에 각각 가야산(伽倻山)이 있는데, 이것은 '갈'에서 나온 지명이기보다 '가ㅅ'(邊:변)의 뜻에서 나온 지명이기 쉽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보면 고성군(경남)에 가라산(加羅山)이 나오는데, 지금의 거류면의 거류산(巨流山)으로 여겨진다. 가라산(加羅山)은 경기 고양 지도읍 토당리에도 있다. '가라'는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말로 우리나라를 '가라'(韓)라고 하게 되었고, 나중에는 외국이라는 뜻으로 중국까지도 '가라'로 묶어 부르게 되었다.

 

문교부의 편수관을 지낸 지리학자 이영택(李泳澤)님은 일본 큐슈(九州)의 가라쓰(唐津)가 우리나라를왕래하던 나룻목이어서 원래 '가라쓰'(韓津)라 하던 것을 그들이 고의로 고쳐 쓴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일본 후쿠오카현 서북부 이토시마군  시마마치에는 가야산(可也山)이 있는데, 우리나라의 땅이름이 그대로 건너간 것이다.

 

 

가리/가래/가림(加里/加禮/加林)

높음(高)을 뜻하는 ''이 '마리'가 되고, '씨'의 ''이 '아리'로 되듯이 물, 물가, 분기를 뜻하는 ''은 주로 가리로 되었다. 따라서 '가리'는 물가 마을에 많이 붙어 있다. 그러나 가리, 가라 등이 들어산이름에서는 산줄기가 갈린 목 또는 고장을 가른 산이란 뜻으로 붙여진 것이 많다.

 

가리산(加里山)은 강원 춘성군과 홍천 사이(1061m) 외에도 경기 포천 이동면(775m), 강원  인제군 인제면과 북면 사이(1519m) 등 여러 곳에 있다. 강원 평창군과 정선 사이에는 가리왕산(加里王山 1560m)이 있는데, 역시 '' 관계 지명임에도 맥(貊)국의 가리왕(加里王)이 예국의 침입을 받아 이 곳에 피난하여 성을 쌓고 머물러 이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서울 구로구에는 가리봉(加里峰)의 이름을 딴 가리봉동이 있다. 이 곳을 못 아래라 해서 모아레(澤下)라 했던 곳으로, 청룡혈이 되는 산 밑에 용의 물먹이 자리라는 큰 연못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 연못자리에 집들이 들어서 있다.

 

경북 성주군은 고려와 조선시대에 가리현(加利縣)이라 했는데, 낙동강의 한 지류인 백천(白川)이 갈린 곳이어서 '가랫골'이라 불리었던 곳이었다. 충남 부여군 임천면의 삼국시대 지명은 '가린골'(加林懸: 가림현)이며, 고려시대에는 전남 화순현에 가림역(加林驛)이  있었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있는 진한(振韓) 땅 여섯 촌 중의 가리촌(加利村)은 '큰 산'의 뜻인 '가리재', 또는 한재(韓岐:한기)로 유추하고 있다. 가리골은 경남 의령군 용덕면 가락리(佳樂里) 등 여러 곳에 있으며, 비슷한 마을 이름으로 가래(경북 영주군 장수면 두전리 등), 가룬(경북 영주군 태장리), 가림(경기 가평 북면 적목리 등), '가레'(경남 밀양 무안면 등),  '가래피'(강원 양양군 서면 오가리) 등이 있다. 평남개천군에는 갈인산(葛仁山: 1088m)이 있는데, 갈렸다는 뜻의 '갈린뫼'의 한자 표기이다.

 

 

갈내/갈말/갈골(葛川:갈천/葛末/葛谷:갈곡)

갈내(葛川)는 주로 물가 마을의 지명으로,경기 화성 향남면, 강원 삼척, 경북 영덕군 창수면, 경북 청송현 서면 등 여러 곳에 있다. 이 중 화성의 갈천리(葛川里)는 내가 갈린 곳이라 해서 '갈래울'로 불리기도했던 곳이다.  지금의 논산 은진면에 해당하는 조선시대의 은진현(恩津縣)은 삼국시대에는 '가지내현'(加支奈縣 또는 加乙乃縣)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갈내의 취음이며, 강이 분류한 것을 뜻하고 있다.

 

물가 마을 이란 뜻의 '갈마을'은 줄어서 '갈말'이 되어 갈말읍(葛末邑:강원 화천), 갈마리(渴馬里: 충남서산, 전북 고부, 임실, 전남 승주 등)의 이름을 낳았다.  함남 함주군에는 갈말봉(渴末峰)이 있는데, 여기서의 갈말은 '갈마루'로 큰 산'을 뜻하고 있다.

 

갈골(葛谷:갈곡)은 경기 파주 천현면의 갈곡리,전남 영암 신북면의 갈곡리, 경북 월성 천북면의 갈곡리, 경북 영주 장수면 호문리 등 여러 곳이 있지만, 이 중에는 칡이 많다고하여 칡울, 치리실, 치실 등으로불리는 곳이 있다.

 

 

갈들/갈밭/갈고지(葛坪:갈평/葛田:갈전/葛花:갈화)

'갈밭'이란 마을 이름이 무척 많다. 이 이름은  한자로 대개 갈전(葛田)이 되어 경기 안성, 강원 삼척,평강, 충북 보은, 충남 대덕, 전남 담양, 완주, 경북 예천, 안동, 문경, 경남 창원, 진양, 산청, 평북 후창, 함남 함주 등에 리/동(里/洞) 행정지명으로 올라 있다. 또 갈평(葛坪)으로도 되어 충북 보은, 경북 안동, 문경, 강원 통천, 전남 승주 등에 역시 행정 이명(里名)으로 들어가 있다. 또 갈전은 산이름으로도 붙여져 강원 양양과 인제 사이에 갈전곡봉(葛田谷峰: 1174m)이 있다.

 

갈월(葛月)은 '갈뫼'와 같은 뜻인 '갈달'(갈달)의 한자식 표기인데, 서울 용산구의 갈월동을 비롯해 충북 진천, 보은, 경기 포천 등에 이명(里名)으로 들어가 있다. 경남 남해 고현면의 갈화리(葛花里)는 '갈고지'를 한자로 옮긴 것이다.

 

 

갈미/갈마/갈매(葛山:갈산/葛味:갈미/渴馬:갈마/葛梅:갈매) 

'' 무리의 땅이름 중 '갈미'나 '갈매'는 대개 작은 산이나 언덕에 많이 붙여져 있다. 갈미봉(葛味峰/曷味峰)은 강원 정선(1271m), 함남 단천(1328m), 원성(585m) 등에 있는데, 이 중에는 봉우리가 갈모처럼 생겼다 해서 '갈모봉'으로 불리는 것도 있다. 그러나 대개는 '갈매'(+ )가 갈미로  불리다가 나중에 '봉'이 덧붙어 정착된 이름이다.

 

갈마각(葛麻角: 원산 갈마반도의 끝), 갈마도(葛馬島)전남 완주 신지면,  갈마덕(葛麻德: 함북 부령 서상면), 갈매리(葛梅里: 충남 아산)도 모두 이 계통의 이름들이다.

 

 

* 갈고개/갈재(葛峴:갈현/葛峙:갈치)

갈나무가 많아 '갈고개'라 한다는 갈현이라는 지명이  전국에 무척 많다. 서울 은평구, 경기 과천의 갈현동(葛峴洞)을 비롯해서, 경기 파주, 연천, 강원 철원, 충남 보령, 서산, 전북 진안, 경북 안동 등의갈현리(葛峴里)가 그 예인데, 지방에 따라 가루개, 갈개, 갈재라고 불리기도 한다. 노령산맥의 노령(蘆嶺)도 '갈재'이고, 지금의 강원도 회양군의 고구려 때 지명인 문현(文峴)도 갈재가글재로 되어 그와 같은 표기가 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그 밖의  무리의 땅이름들

'걸'(파도)도 ''의 전음(轉音) 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나온 거로(巨老: 제주시), 거류산(巨流山: 경남고성 거류면), 걸매(傑梅: 충남 아산 인주면) 등도 같은 '' 계열의 지명으로 보고 있다. 아양리(鵝陽里: 경남 거재 장승포읍), 아천리(鵝川里: 경남 합천 대양면), 아지산(鵝지山: 경북 안동 임동면), 아도(鵝島) 등 '아'(鵝)가 들어간 지명들이 있는데, ''계의 '거로'가 '거위'(鵝:아)와 음이 비슷해 붙여진이름 들이다.

 

거제도 장승포읍은 삼국시대에 '거룻골'(巨老縣)인데, 신라 35대 경덕왕 때 아주현(鵝州縣)으로 바뀐후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내려왔다. 지금은 그 곳에 아주리(鵝州里)가 있다. 고례(古禮: 경남 밀양 단장면), 고리(古梨: 경남 하동 진교면), 고이(古耳: 전남 신안 압해면) 등도 같은  '' 무리 이름으로 보고있으며, 충청, 전라 지방에서 쓰는 '들'이라는 뜻의 '구레'(건넌구레, 구렛들 등)라는 것도 같은 울타리에 넣을 수가 있다.

 

''은 고구려에서 '구루'가 되어 성읍(城邑)의 뜻으로도 씌었다고 하는데, 큰 마을은 대게 물가에 자리잡기 때문에 붙여진 듯 하며, 고구려(高句麗)도 실제는 '큰 고을'의 뜻인  '커구루'의  한자  취음으로 보고 있다. 학자들은 이 '구루'를 한반도 남쪽지방의 '가라'와 대칭 지형으로 생각하고 있다.   


글/지명연구가   배우리

728x90
728x90

'정보*공유 > 뫼이름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와 새재(鳥嶺) - 2편  (0) 2006.08.26
새와 새재(鳥嶺) - 1편  (0) 2006.08.24
홍천 가리산(加里山) - 1편  (0) 2006.08.16
강화 마니산(摩尼山) - 2편  (0) 2006.08.05
강화 마니산(摩尼山) - 1편  (0) 2006.08.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