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매산~국사봉~대남산~남산~성산(천안) .... 2024.10.24
본문 바로가기
산행*여행/산길따라~

큰매산~국사봉~대남산~남산~성산(천안) .... 2024.10.24

by 마루금 2024. 10. 24.

산행날씨 : 4.9 ~ 18.4℃,  맑음

산행코스 : 두정역(전철 1호선)~이편한세상 101동~큰매산(142.2m)~국사봉(168.9m)~생태통로~하늘빛아파트 105동~문덕리 정류장~충청연수원~대남산(90.7m)~토지공사 현장~남산(109m)~남산바위~34번 국도 지하통로~군동 2리 정류장~직산현 관아~성산(176.1m)~만경사~매주저수지~성환역(전철 1호선)

산행거리 : GPS거리 17.7 km

산행시간 : 4시간 06분

산행인원 : 홀산

큰매산~국사봉~남산~성산(천안).gpx
0.32MB

 

 

 

 

 

 

수도권전철 1호선을 교통편으로 해서 충남 천안시 서북구의 야산 5개를 연계해서 다녀왔다. 그중 2개는 능선으로 연결되고, 3개는 독립산이다. 하여 부득이 도로를 따라가는 구간이 생겼다. 산행시점은 두정역, 종점은 성환역으로 잡았다. 두정공단에서 성거 문덕리 하늘빛아파트까지 약 7.7km의 능선은 큰매산과 국사봉이 걸쳐있고, 이후 대남산까지는 도로 연결이며, 그다음 남산까지는 도로대신 광활한 토지공사 현장을 통과하는 것인데, 약 27만 6천 평 부지에 천안 테크노파크 일반산업단지가 조성된다고 했다. 마지막 성산까지는 도로 연결이다. 

 

 

 

도심지 진행 순서 : 두정역 → e편한세상 APT 101동(두정 3차)  씨앤티방역연구소(첫 이정표 있는 곳) → 큰매산 들머리

 

첫 이정표(씨앤티 방역연구소 앞)

 

큰매산 들머리

 

능선이 끝날 때까지 이정표 팻말의 '성거 문덕리' 방향으로만 진행함   

 

 

 

▼ 큰매산(142.2m)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과 서북구 두정동 일대에 걸친 산이다. 매가 날개를 힘차게 펼치고, 남북으로 하늘에 떠 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 얻은 지명이라 한다. 정상에 큰매산 말뚝과 삼각점(평택 484)이 있고, 땅 밑에는 천안터널, 동쪽 기슭에는 단국대와 천호저수지가 있다. 경부고속도로를 달리면서 단국대학교를 바라볼 때 뒤쪽 배경으로 보이는 나지막한 산이다.

 

 

 

 

길림길을 수차례 지나감

 

사각정자 1

 

 

사각정자 2

 

 

 

 

국사봉(168.9m)

천안시 서북구 신당동과 성거읍 요방리 일대에 걸친 산이다. 정상에 국사봉 말뚝과 삼각점(평택 313), 묘지가 있으며, 동북쪽 기슭에는 경부고속도로 쉼터인 망향휴게소가 있다. 즉 망향휴게소의 배경이 되는 산이다. 

 

 

 

 

국사봉 정상에서 흑성산 & 태조산 줌인

 

정상에서 약 180m 떨어진 지점의 조망점

 

 

흑성산 줌인

 

태조산 줌인

 

 

 

천안교도소 제4 경비초소를 지나감 

 

144.9봉

 

호남대학술림 관찰로

 

호남대학술림 관찰로 끝지점의 고개를 가로질러감

 

 

생태통로를 건너감

 

하늘빛아파트 105동에서 101동으로 이동

 

도심지 진행 순서 : 하늘빛아파트 정류장 → 거산케미칼(좌)  봉덕리식당(우) → 충청연수원 → 마이스터정밀(우) → 고개

 

대남산 들머리인 고갯마루에서 좌측 숲으로 진입

 

 

 

▼ 대남산(90.7m)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남산리에 있는 산이다. 길이 거의 보이지 않는 오지의 구간이며, 정상 표시라고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날머리를 빠져나오자 대단위 토지공사로 인해 능선 끝부분이 절개지를 이루고 있어서 바닥으로 내려서는데 약간의 애를 먹었다. 약 27만 6천 평 부지에 천안 테크노파크 일반산업단지가 조성될 자리라고 한다.   

 

 

 

 

대남산 날머리에서 남산을 바라본 풍경, 돌아가는 길이 너무 멀어서 공사장을 가로질러가기로 결정했다.

 

공사장을 가로지른 후 묘지로 연결되는 절계지의 철계단으로 올라갔다.

 

철계단 위에서 바라본 지나온 공사장과 대남산 풍경

 

철계단 위의 묘지에서 숲으로 진입

 

 

 

남산(109m)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남산리와 군동리 일원에 걸친 산이다. 직산고을 남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붙여진 지명으로 보인다. 등산로가 희미하게 나있는 오지의 구간이며, 정상 표시물은 없었으나 삼각점 2개와 산꾼들이 매달아논 낡은 리본이 몇 개 보였다.

 

 

 

 

지적삼각점 (충남 21)

 

4등 삼각점 (평택 436)

 

 

 

 

▼ 남산바위(南山岩)

남산에 있다 하여 남산바위, 또 여러 바위가 합해져서 부엉이처럼 보인다 하여 휴유암이라고도 불렀다. 해동지도에 휴유암 기록이 나온다.

 

 

 

 

 

 

남산바위 전설

바위가 하도 커서 부엉이가 날마다 곡식 1천 석을 먹을 상이므로 직산고을이 가난하게 된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걱정 끝에 어느 스님과 상의하였더니 그가 말하기를 이 바위의 그림자를 거꾸로 비추게 하면 고을의 재물이 나가지 않을 것이라 하였다. 이에 군서리 장명다리 아래에 못을 파고, 남산의 부엉바위가 이 못에 거꾸로 비추게 하였더니 고을의 재물이 흘러나가는 험살을 막게 되었다고 전한다. 그리하여 그림자가 거꾸로 비추는 못이라는 뜻으로 그 못을 도영지(倒影池)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그 후 이 못을 보수하지 못하였으므로 직산 고을에는 큰 부자가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부엉바위 전설은 마음씨 착한 부자가 죽어서 남산에 묻었는데, 그 묘 터에서 큰 바위가 솟아올랐다는 것으로 바뀌어 전해오기도 한다. 이 후에 도영지라는 못을 팠다는 이야기는 부엉바위 전설과 같다. 이는 아마도 “직산고을에 부자가 나오지 않는다.”는 옛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하여 그 줄거리가 재구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남산 날머리를 빠져나가서 도로를 따라 성산으로 이동  

 

도심지 진행 순서 :  34번 국도 지하통로 → 군동 2리 정류장(직산안길)  직산현 관아(좌뒤)  성산 들머리

 

직산현 관아

 

성산 들머리

 

 

 

 

 

▼ 성산(成山/ 176.1m)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군동리, 군서리, 성환읍 매주리일대에 걸쳐 위치하고 있는 산이다. 이 산의 남쪽 기슭에는 직산현 향교와 관아가 남아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고을 서쪽 3리에 있는 진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사산(蛇山)이라 불렀다. 성산(城山)이라 부른 것은 산 정상부 일대에 백제시대의 산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상은 넓은 헬기장이며, 정상 표시물은 없고, 2등 삼각점(평택 23)이 있다. 

 

 

 

 

 

만경사 진입로를 따라서 하산

 

매주저수지

성환역에서 산행 종료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