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녀봉~달밭산~자구산~부춘산(예천) .... 2024.10.27
본문 바로가기
산행*여행/산길따라~

옥녀봉~달밭산~자구산~부춘산(예천) .... 2024.10.27

by 마루금 2024. 10. 27.

 

 

산행날씨 : 9.4 ~ 17.7℃,  흐림

산행코스 : 고항재~옥녀봉(890.6m)~문곡재~달밭고개(972.4m)~달밭산(9743m)~소목재~임도~자구산정상석(785.2m)~실제 자구산(757.5m)~송전탑(659.9m)~부춘산(733.7m)~임도~석묘리정류장

산행거리 : GPS거리 11.32 km

산행시간 : 5시간 25분

산행인원 : 자유팀 7명(승용차 2대)

옥녀봉~달밭산~자구산~부춘산(예천).gpx
0.22MB

 

 

 

 

 

 

경북 예천군 효자면과 영주시 봉현면 경계의 옥녀봉, 달밭산, 자구산, 부춘산을 다녀왔다. 소백산 남쪽의 백두대간 묘적령 부근에서 분기돼 나온 자구지맥 산줄기의 산봉들이다. 해발 670여 m의 고항치에서 출발, 옥녀봉까지 급비탈을 치르고 나면 그다음부터는 고도차가 심하지 않다. 아쉬운 점이라면 시원한 조망이 없고, 약간의 오지 구간이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코스 종점은 해발 260여 m의 석묘리 버스정류장이다.  

 

 

 

동물이동통로가 있는 고항재 예산 쪽에서 하차

 

한천발원지 표석

 

옥녀봉 들머리

 

옥녀봉까지 가파른 비탈로 이어짐

 

 

숲사이로 조망되는 백두대간의 묘적봉 능선

 

 

 

 

◆ 옥녀봉(玉女峰/ 890.6m)
예산군 효자면과 영주시 봉현면 경계에 있는 산이다. 돌탑이 있으며, 정상석이 두 개인데, 예천군에서 세운 자연석 정상석과 영주시 봉현면에서 세운 사각기둥 모양의 정상석이 있다.

 

 

 

 

 

뒤돌아본 옥녀봉과 그 뒤편의 백두대간

 

 

문곡재

 

 

문필마을 갈림길

 

 

 

 

▼ 정상석이 세워진 달밭산(972.4m)

예천군 효자면 고항리와 영주시 봉현면 대촌리, 한촌리 경계에 걸친 산봉이다. 영주시에서 세운 정상석과 삼각점(단양 317)이 있다. 이곳 정상의 이정표에는 달밭고개로 표시하고 있다. 즉, 달밭고개 = 달밭산인 셈이다.

 

 

 

 

줌인해 본 소백산 능선

 

묘적봉 능선

 

용암산

 

학가산

 

 

 

 

▼ 실제의 달밭산(974m)

오늘 진행하는 구간 중 최고봉이며, 달밭산 정상석이 설치된 봉우리에서는 남쪽으로 약 300m의 거리를 두고 있다. 이 봉우리 나무판재 표지판에는 달밭산으로 표기되어있으나 문필마을 갈림길의 이정표에는 이 봉우리를 문필봉으로 표시하고 있다. 근처에 묘지가 있다.   

 

 

 

 

 

소목재

 

 

 

안동권씨 묘 여러 기를 지나감

 

안부에서 임도로 빠져나갈 필요 없이 건너 능선으로 계속 진행   

 

뒤돌아본 달밭산

 

 

 

 

▼ 자구산(子求山/ 785.2m)

예산군 효자면과 영주시 봉현면 경계에 있는 산이다. 예천군에서 세운 정상석이 있는데, 지도상의 자구산은 350여 m 더 가야 한다. 자구산은 자구지맥이란 이름을 낳기도 했지만 옛날에 자식을 낳지 못하는 사람이 이 산에서 공을 들이면 자식을 얻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지도상의 자구산(757.5m)

 

영주시 줌인

 

뒤돌아본 달밭산

 

 

659.9봉 / 송전탑

 

자르매기

 

 

 

▼ 부춘산(富春山/ 733.7m)
예산군 효자면과 영주시 봉현면 경계에 있는 산봉이다.  나무로 만든 부춘산 표지판이 달려있고, 국방부지리연구소의 대삼각점이 있다. 공민왕이 봄을 맞이했다는 뜻으로 부춘산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한다.

 

 

 

 

 

 

춘생마을 유래 
1350년 홍건적의 침입을 받아 그해 겨울 고려 공민왕이 새목에서 피난하고, 이곳에 이르러 봄이 온 것을 알았으므로 마을 뒷산을 부춘산이라고 했으며, 이것을 기념하여 마을에서는 제단을 만들어 두고, 해마다 제사를 지낸다고 한다. 또 일설에는 신라 경순왕이 경주에서 개성(松都)으로 가는 길에 이곳에서 봄을 맞았다고도 한다.

 

 

 

 

임도를 가로질러 능선으로 내려감

 

 

묘지와 약초재배지 철조망을 지나서 석묘리 마을 임도로 내려섰다.

 

산행종점인 석묘리정류장

승용차 1 : 천둥, 아누리, 한마음, 새벽, 우리산, 마루금 /  승용차 2 : 불국사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