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여행/산길따라~

진대산(충북 단양) ...........2013.6.8

by 마루금 2013. 6. 9.

 

산행날씨 : 평지기온으로 16.8℃ ~ 28.3℃,  맑음.

산행코스 : 방곡삼거리(방곡슈퍼) ~ 무명봉 ~  진대산(만기봉) ~ 식기봉 ~ 명전교 

산행거리 : 도상 4Km  

산행시간 : 아주 느리게 5시간 (봉우리마다 머물러서 휴식을 취함)

산행인원 : 자유팀 3명 ~


충북 단양의 진대산을 올랐다. 월악산국립공원 권역의 비탐지에 속하는 지도에 표시도 없는 산, 아직 찿는 이가 그리 많지 않아서 무명에 가깝지만 마치 숨겨진 보물을 찿아낸 것처럼 매력이 넘치는 산, 멋드러진 암릉이 있고, 때깔 좋은 황금 노송이 잘 어우러진 때묻지 않은 절경이 넘쳐나는 곳, 주변 황정산이나 도락산에 버금가는 수준의 산이다.

 

 

산행을 시작하기 전에 원점산행이 아니라서 출발지로 회귀하는 고민거리가 생겼다. 궁리 끝에 묘수를 발동, 방곡슈퍼 건너편 공터에 주차를 해두고 슈퍼에 들러서 미리 점심식사(백숙)를 주문했다. 물론 산행이 끝나면 날머리로 픽업 와 달라는 주문도 함께... 슈퍼 주인께서 흔쾌히 승낙, 이렇게 해서 문제를 간단히 해결했다.(방곡슈퍼: 010-2285-9266)  

 

방곡리 ~
수려한 산수와 도자기 제작으로 유명한 고장이다. 조선시대부터 막사발을 제작하였으며, 한 때 쇠락하였다가 1990년대 자치단체의 지원정책으로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방곡삼거리에서 바라본 진대산 ~

들머리 ~

콘테이너 박스를 지나서 세멘트도로를 따라 진입, 민가 직전에서 좌측 밭으로 올라 능선으로 붙는 방법이 있고, 방곡삼거리에서 단양/제천 방면으로  큰도로를 따라 50~60미터쯤 가다가 첫 번째 만나는 전봇대에서 우측 밭으로 진입하여 능선으로 붙는 방법이 있다.

 

첫 번째 만나는 바위 ~

석문(일명 구멍바위) ~

처마바위 ~

모자바위 ~

첫 번째 하강 ~

두 번째 하강 ~

진대산(696m) ~

진대산을 일명 만기봉이라 부르기도 한다. 정상에 만기봉 푯말과 밑둥이 부러진 표지목이 있다. 이곳 토박이 주민들 말에 의하면 궁터골을 에워싸고 있는 진대산은 바위가 너무 많아서 옛날부터 악산이라 여겼으며, 유난히 뱀이 많아서 뱀산이라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황정산 ~

지나온 암릉 ~

백두대간(황장산) ~

아랫쪽 능선들 ~

금강송 ~

건너편 도락산 ~

황정산 ~

만기봉에서 식기봉으로 이어지는 구간에 잠시 숲길로 변하기도 한다. 숲 속 안부로 한 차례 내려섰다가 다시 올라서면 삼거리 분기봉인데 식기봉은 직진길이다. 좌측으로 틀어서 잠시 알바, 전망바위에 올라서 장화바위를 발견하고는 방향을 틀어서 식기봉으로 넘어갔다.

 

용머리 송(龍頭松) ~

장화바위와 식기봉 ~

내궁기 궁터골 ~

도락산과 진대산 사이 깊게 패인 골짜기가 내궁기 궁터골이다. 이름이 그렇듯 옛날 조선 태조 이성계에 쫓긴 공민왕이 궁궐을 짓고 살았다는 전설이 있으나 믿을만한 근거가 없다. 무사들이 궁술을 연마하던 곳이라는 설도 있다.  또한 십승지에 해당한다는 설도 있으나 풍수전문가들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골 남쪽을 에워싼 진대산이 종기가 난 산이라 하여 매우 블길한 징조로 여기기 때문이다. 

 

궁터골은 지형도를 들여다보아도 그렇듯이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는 요새 같은 계곡인데 도락산 신선봉에서 내려다 보면 거대한 분화구처럼 보인다. 그때문에 풍수지리상 자궁혈을 닮았다고 보기도 한다.  병목 현상인 궁기동 입구에서 북동쪽으로 휘도는 능선이 도락산을 이루고, 도락산에서 시계 방향으로 휘도는 능선이 동그랗게 돌아 궁기동 입구로 모아지기 때문이다. 

   

내궁기 마을 ~

장화바위 ~

뒤돌아본 장화바위 ~

바위에 매달린 소나무 ~

식기봉 정상 ~

벌천리 방면 ~

내궁기 방면 ~

용두산 ~

마지막 하강 ~

그릇을 닮았다는 식기봉 ~

모여티 골짜기 ~

햄버그 바위 ~

날머리 ~

벌천삼거리(명전교) ~

단양천 ~

벌천리를 지난 단양천은 선암계곡을 이룬다. 이곳에는 단양팔경 중 삼경인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이 있다. 그리고 벌천리 동쪽으로는 도락산(道樂山, 964m)이다. 여기서 도락이란 '도를 아는 즐거움'을 말하는 것으로 우암 송시열 선생에 의해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