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일산~금륜산(평창의 오지) .... 2017.05.14
본문 바로가기
산행*여행/산길따라~

하일산~금륜산(평창의 오지) .... 2017.05.14

by 마루금 2017. 5. 15.

산행날씨 : 7.3 ~ 15.3℃  맑음 

산행코스 : 하일동 입구 ~ 대화8리 마을회관 ~ 하일산(1170.9m) ~ 1033.3봉 ~ 직벽구간 ~ 철탑 ~ 금륜산(759.2m) ~ 숫대덕바위 ~ 대덕사 ~ 암대덕바위 ~ 반정교 

행거리 : 9.53km  

산행시간 : 7간 40분

산행인원 : 산악회따라 ~

하일산~금륜산(평창).gpx
0.31MB

 

 

 

 

 

 

 

평창의 오지 하일산과 금륜산 능선을 연결했다. 이 코스는 장비 없이 일반인이 통과하기에는 무리라 판단된다. 직벽과 갈래가 많아 암벽과 독도에 능한 경험자가 동반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진입 가능한 곳 까지 버스로 이동 

파크골프장 안내도가 설치된 건물 앞에서 하차, 버스가 알바했다. 건물에서 좌측 도로를 따라 끝까지 가 팬스가 설치된 시설물을 가로질러 반대편 도로로 넘어갔다.   

 

 

 

 

우측이 하일산이다.  갈래길에서 하일동 방향으로 Go ~

 

대화8리 마을회관 

 

 

 

▼ 아스팔트가 끝나면 ~

비포장으로 바뀌면서 넓은 밭 가장자리 좌측으로 도로가 이어진다. 임도가 좌로 꺾이면 밭과는 헤어지게 되며, 능선을 틀어 돌아갈 즈음 희미한 등로를 따라 숲으로 올라선다. 

  

 

 

 

 

 

 

▼ 비석 없는 묘지를 지나면 등로가 더욱 희미해지고. 너덜과 낙엽이 짬뽕인 능선 도중에서 큰 바위를 만나면 좌측 급경사를 치고 오른다. 이후 정상까지 등로는 불확실하다. 낙엽과 너덜 무더기 급사면에서 미끄러지듯 제자리 걸음에 힘이 쭉 빠지곤 한다.    

 

 

 

 

 

 

▼ 급사면을 다 올라서고나면 두리뭉실한 봉우리다. 여기서부터 그나마 희미한 등로를 만날 수 있다. 우향으로 90도 꺾어서 150m쯤 능선을 따라 진행하면 하일산 정상인 삼각점이 나타난다. 정상 표시는 없다. 나무에 딸랑 리본 몇 개 매달린 것 빼고는 아무 것도 없다.  

 

 

 

 

쌀쌀한 바람이 불지만 하늘은 매우 맑고 깨끗하다. 서울 미세먼지랑은 퍽 대조적이다.

 

하일산 정상 

 

 

 

▼ 옥녀봉 

하일산 정상을 떠나서 곧 만나는 기암이다.

봉우리는 아니고, 안부로 이어지는 능선 도중의 약간 돌출된 바위턱이다.

 

 

 

 

 

바짝 메말라있는 멧돼지 놀이터 

 

금륜산에 달려 있어야 할 게 왜 여기에 매달려있나?

 

직벽구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능선이 펑퍼짐해 산행이 널널하다.

 

바람끼 없는 넓직한 안부 터를 골라 점심식사를 마쳤다.

 

1033봉에서 250m쯤 지나면 능선이 분기된다. 거기서 우틀 

 

이윽고 장애물 출현, 첫 번째 만나는 수직벽에서 남병산 조망이 좋다.

 

 

 

▼ 첫 번째 수직벽 

상단부 10m 암벽에 자일을 설치해서 하강하고, 중간 밴드를 5m 이동, 이어서 하단부 5m 벽에도 자일을 설치, 하강이 도합 두 번이다.

 

 

 

 

 

 

첫 번째 수직벽을 내려서자 우측 골짜기로 짐승길이 뚜렸하게 보였다. 이 짐승길을 따라 사면을 크게 돌아서 우회, 두 번째 수직벽 하강을 피할 수 있었다. 그 다음은 세 번째 직벽을 만났다. 상단 20m는 경사 약 70도, 하단 20m는 90도 직벽이다. 30m 자일 1동으로는 하강이 불가했다. 이 벽 중간 확보지점이 마땅치 않아 피치를 끊을 수도 없었다. 그래서 후퇴를 결정, 우회로를 찿아나섰다. 

 

 

 

 

 

 

세 번째 직벽에서 물러난 후 ~

되돌아 나와 우회해서 골짜기로 내려섰다. 역시 급경사면 낙엽과 낙석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다. 다행히 골짜기 하단부에 이르러서 네 번째 직벽을 만났다. 경사도는 60도쯤, 자일을 설치해서 15m 하강으로 위험지역을 벗어났다. 맨손으로 다닐 수 없는 길이다.   

 

 

 

 

네 번째 직벽 하강 

 

하강을 마친 네 번째 직벽 

 

네 번째 직벽 하강을 마치고, 세 번째 직벽 아래를 지나면서 바라본 약 40m 높이의 아찔한 수직벽 

 

수직암벽 지대를 벗어나서 편안한 마음으로 바라보게 된 청옥산 스카이라인 

 

철탑 뒷쪽은 가야할 금륜산이다.

 

남병산 

 

좌측 맨뒤는 청태산, 우측은 거문산과 금당산

 

지나온 하일산의 수직벽 구간 

 

철탑 방향으로 Go ~

 

청옥산과 중왕산을 잇는 스카이라인 

 

금륜산 정상 

 

금륜산에서 바라본 하일산 

 

 

 

숫대덕바위 옆을 지나는 중 

 

숫대덕바위 아래 안부의 철탑 

 

철탑 안부에서 올려다본 숫대덕바위의 웅자 

 

사람과 비교하면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을 것 

 

 

철탑 안부에서 계곡으로 우틀, 계곡과 사면을 번갈아가며 하산로가 대덕사 방향으로 이어진다.

 

 

통나무다리를 건너 도로에서 올라가면 대덕사, 내려가면 하안미리의 반정교 방향이다.

 

대덕사 중창공덕비 

 

대덕사 

 

 

암대덕바위는 숫대덕바위에 비하면 상당히 왜소한 미니 싸이즈다.

 

 

 

금륜산(758m) ~

황금마차의 산이란 뜻으로 숫대덕바위와 암대덕바위가 있어 대덕산이라고도 부른다. 이 산은 거의 바위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암수바위는 대덕사를 가운데 놓고 약 500m 떨어진 거리에서 기이한 모습으로 서로 마주 대하고 있다. 

 

 

 

암대덕바위에서 바라본 숫대덕바위 

 

아랫쪽에서 바라본 암대덕바위는 숲에 가려져있어 가까이 가기 전에는 분간이 어렵다.

 

 

 

대덕사 진입로 

 

 

하안미리를 지나는 31번 국도 도착으로 산행을 마쳤다.

 

 

 

▼ 하일산에서 금륜산까지의 스카이라인 

맨 우측 계단 모양의 3단 수직벽이 이 구간의 최고 난코스다. 뒷풀이 도중에 식당 앞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하일산~금륜산(평창).gpx
0.31MB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