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사고
원안
안전장비 없이 부주의한 산행, 부실한 장비 등 방법 미숙지 등으로 추락사고가 발생한다.
증상
단순한 타박상에서부터 팔다리 부러짐, 목 부러짐, 사망 등 여러 형태의 사고 후유증이 발생한다.
사전예방법
1. 안전장비의 착용
★ 칼날같은 능선이나 어려운 암릉 등반의 경우에는 로프를 사용하고, 헬멧과 안전벨트 등을 반드시 착용한다.
★ 단체산행의 경우에는 한두 세트라도 안전장비를 지참하여 산행한다.
★ 로프가 손상된 곳은 없는지, 카라비나가 잘 작동이 되는지, 안전벨트에 이상은 없는지 등 안전장비는 산행 전에 반드시 검사 실시한다.
2. 안전한 산행밥법 습득
★ 암벽등반을 위해서는 충분한 교육과 안전장비의 사용법을 숙지한다.
★ 바위에 설치한 안전확보 중 각종 장비에 대해서는 이중으로 안전조치를 한다.
낙석사고
원인
암벽등반 중 작은 돌이나 카라비나, 하강기, 하켄 등이 떨어지면서 아래에 있는 사람이 맞아 발생한다.
사전예방법
★ 암벽등반 중에는 반드시 헬멧을 착용한다.
★ 낙석사고 발생시 원인 제공자 또는 최초 발견자가 즉시 큰소리로 "낙석"을 외쳐 위험을 알리도록 한다.
★ 낙석 소리를 들은 아랫쪽 사람은 위를 올려다 보지 말고 즉시 몸을 웅크리거나 안전조치를 취해야한다.
암벽등반 중 고립사고
원인
★ 초보자가 과도한 산행으로 오도가도 못하는 경우
★ 안전자일이 꼬여서 꼼짝할 수 없는 경우
★ 바위틈에 꽉 끼여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사전예방법
자신의 능력에 맞지 않는 무리한 산행은 금지한다.
END . . .
'정보*공유 > 산행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한에서 3도(道)가 만나는 지점 (0) | 2024.07.26 |
---|---|
산악안전사고 예방요령 .... 등산,하산 중 사고 (0) | 2022.09.08 |
산악안전사고 예방요령 .... 계곡에서의 수난 사고 (0) | 2022.09.08 |
해빙기 낙석과 산사태 (0) | 2022.09.08 |
장마철 낙뢰사고 피하려면 (0) | 2022.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