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응산~봉덕산~봉화산~백마산(예천) .... 2024.02.09
본문 바로가기
산행*여행/산길따라~

흑응산~봉덕산~봉화산~백마산(예천) .... 2024.02.09

by 마루금 2025. 2. 10.

 

산행날씨 : -15.0 ~  1.1 ℃,  맑음

산행코스 : 예천향교~흑응산/청화루(217.3m)~흑응산성~송전탑 1~봉덕산(373.6m)~서암산봉수대~봉화산(336.7m)~송전탑 2~임도~백마산(385.2mm)~용산마을

산행거리 : GPS거리 9.65 km

산행시간 : 3시간 51분

산행인원 : 자유팀 9명(승용차 2대)

흑응산,봉덕산,봉화산,백마산(예천).gpx
0.18MB

 

 

 

 

 

 

경북 예천군 예천읍내의 뒷산인 흑응산, 봉덕산, 봉화산, 백마산을 연계해서 다녀왔다. 예천향교에서 출발, 용산마을에서 산행을 마쳤는데, 도심지에서 가깝고, 등산로 정비가 확실한 흑응산과 봉덕산 구간은 읍내 주민들이 즐겨 찾아 오르지만 등산로가 허술하고, 도심지에서 먼 봉화산과 백마산 구간에서는 주민들을 만나지 못했다. 백마산 산불감시초소 지킴이 1명을 만난 게 전부다. 산세는 전형적인 육산이며, 고도 기복이 적어서 그리 힘들지 않은 코스다. 교통편은 승용차 2대를 이용했다.

 

 

 

연방사 방향으로 올라감

 

연방사 앞을 지나감

 

체육공원을 거쳐감

 

체육공원에 설치된 등산로안내판

 

예천 출신의 안도현 시비

 

 

 

▼ 흑응산(黑鷹山/ 217.3m)
예천읍 노상리와 백전리 경계에 걸친 산이다. 예천읍의 진산이며, 능선이 봉덕산으로 이어진다. 정상에는 예천읍이 내려다보이는 팔각정 청하루가 있고, 예천초등학교 뒤쪽 해발 100m 위치에는 흑응산성이 있는데, 성은 내성과 외성이 연결돼 있으며, 내성은 예천초등학교 뒤, 외성은 예천군청 뒤에 있다. 산 이름은 흑응산성에서 유래된 것으로 유추하고 있다. 

 

 

 

청하루

 

예천읍 시가지 전경

 

공덕산 & 천주봉 방향

 

학가산 방향

 

 

흑응산성 해설판

 

 

 

흑응산성(黑鷹山城)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44호로 지정되었다. 덕봉산성(德鳳山城) 또는 봉덕산성이라고도 부른다. 해발 100m에 위치한 토석혼축성이며, 내성과 외성인 익성(翼城)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은 둘레 1,9km, 높이 3∼4m, 면적 2만 9554㎡이고, 성안에 우물 2곳, 못 1곳이 원형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군창이 있던 자리는 농막이 세워져 있다. 성내에서 민무늬토기, 신라토기 조각이 발견되었고, 고인돌 3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부족국가시대에 축조된 성으로 추정하고 있다.

 

 

 

 

산신당, 장군당

 

 

 

소백산 줌인

 

송전탑 1 아래를 통과

 

 

서악사 갈림길

 

봉덕산, 백마산 전투 알림판

 

 

 

 

봉덕산(鳳德山/ 373.6m)
예천읍 대심리, 석정리, 용산리 경계에 걸친 산이다. 정상에 산불감시초소, 정상석, 삼각점(예천 22), 이정표, 미완성 돌탑이 있다. 산기슭에 서악사가 있으며, 동쪽 능선은 흑응산에 연결되고, 성평리로 뻗어나간 서쪽 능선엔 고분이 많다. 산 이름은 덕봉산(德鳳山) 또는 한자가 다른 덕봉산(德逢山)으로도 불렸으나 지도는 봉덕산(鳳德山)으로 표기하고 있다.

 

 

 

 

예천읍 시가지 일부가 조망됨

 

상주시, 문경시 방향

 

공덕산, 천주봉, 황장산 스카이라인

 

백두대간 스카이라인 & 그 앞의 용문산, 매봉 능선

 

봉덕산에서 송전탑이 보이는 능선으로 진행

 

서암산봉수대 정상

 

 

송전탑 옆을 지나감

 

새벽목장 울타리를 만나서 철조망을 따라감

 

 

 

▼ 봉화산(烽火山/ 336.7m)
예천읍 석정리, 용산리, 유천면 성평리 경계에 걸친 산이다. 정상임을 알려주는 표지판이 세워져 있으며, 숲에 둘러싸여 조망은 없다.

 

 

 

 

송전탑 2 아래를 통과

 

목장 초지 아래에 우사 건물이 보임

 

목장 임도 철문 앞의 이정표



 

▼ 목장 임도에서 백마산으로 올라가는 방법

임도 철문 안쪽은 소와 염소를 키우는 사유지 목장이다. 철문에 부착된 안내문에 부득이 임도를 통과할 경우 반드시 출입문을 원 상태로 닫아달라는 문구가 있다. 철망 바깥쪽에는 올라가는 길이 없으므로 목장 안쪽으로 들어가서 철망 울타리를 따라 급비탈을 올라가면 된다. 대신 목장 통과를 배려해 주신 목장주에게 절대 피해가 가지 않도록 안내문의 내용을 꼭 지켜야 한다.

 

 

 

 

철문 안쪽에 설치된 밧줄을 붙잡고 올라감, 소 배설물에 주의해야 하는 구간

 

철문 안쪽에서 바라본 학가산 스카이라인

 

목장 초지 하늘을 배회하고 있는 독수리  

 

지나온 봉덕산, 봉화산 능선

 

 

 

▼ 백마산(白馬山/ 385.2m)
예천읍 용산리, 용문면 성현리에 걸친 산이다. 정상임을 알려주는 낡은 표지판이 세워져 있으며, 광활한 초지 건너편으로는 지나온 능선이 모두 조망되는 곳이다. 

 

 

 

 

가야 할 능선

 

산불감시초소를 지나감

 

산불감시초소를 지나 4분쯤의 거리에서 월담을 하게 되는데, 울타리가 망가지지 않도록 조심해서 넘어가야 한다. 

 

월담 후 묵은 임도를 따라 진행하게 되는데, 가시나무가 많은 지역이므로 얼굴이 긇히지 않도록 주의 필요.

 

353.7봉 직전의 전위봉에 설치된 백마산 정상표시목 (백마산 정상에서 벗어나 있는 지점임)

 

 

용문면 면소재지 조망

 

 

망부석이 서있는 묘지를 지난 이후 가시나무로부터 해방됨

 

용문마을에서 산행을 마침

참가 : 아누리,아우토반, 한마음, 새벽, 우리산, 마루금, 불국사, 천둥, 장고문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